윤태 기자
【에코저널=수원】경기도는 국가가 내년 상반기 중 부문별 온실가스 감축 세부목표를 정하는 것에 대비해 분야별, 지역별 온실가스 감축 대응방안을 다각도로 마련한다고 23일 밝혔다.
경기도에 따르면 먼저 비산업 분야의 온실가스 감축실천을 위해 에너지 절약과 온실가스 감축에 공공기관이 참여하는 분위기 조성과 도민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2010년부터 도와 31개 시·군이 참여하는 '공공기관배출권거래제 시범사업' 및 가정에서 에너지를 절약한 만큼 인센티브를 지급하는 '탄소포인트 인센티브제'를 확대 시행한다.
온실가스 감축은 가정에서 에너지 절약이 필수적이므로 민·관 합동 파트너십 기구인 '경기도그린스타트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도민에 대한 온실가스 저감 교육·홍보 사업을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온실가스 감축에 있어 대학에 선도적 역할을 담당하기 위해 도내 80개 대학이 참여하는 전국 최초 '경기도그린캠퍼스협의회'를 구성, 적극 추진 중에 있다.
또한 모든 분야에서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투자를 강화해 녹색성장을 신성장 동력의 원천으로 삼기 위해 '경기도녹색성장 5개년 종합계획'에 포함된 내용(현재 109개 사업)을 중심으로 녹색정책 추진에 박차를 기하게 된다.
도내 31개 시·군과 에너지 다소비 업체간 협력을 통해 자발적인 온실가스 저감도 추진한다.
한편 경기도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전국대비 16.5%로 국가 감축목표를 동일하게 적용한다면 2005년 발생량(9805만7천톤)에서 약 4.1%가 줄어든 9403만7천톤 정도가 경기도의 목표 배출량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경기도의 부문별 온실가스 배출량은 에너지 부문이 83.9%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