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온난화가 식중독 발생 증가 초래
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에코저널=부산】지구온난화 등 기후변화로 수산식품 섭취에 의한 식중독, 연안에서의 패류독소와 세균오염 등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아열대 해역에서 분포하는 생물독소와 같은 새로운 위해요소도 등장할 것이라는 예상이 나왔다.


27일 국립수산과학원 양식환경연구소(소장 이태식)가 마련한 '기후변화에 따른 수산식품안전' 세미나에서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의 곽효선 연구관은 "현재 추세로 지구온난화가 지속돼 기온이 2050년 3℃, 2080년 5℃ 상승하면 식중독 발생건수는 15.8%와 26.4%가 증가하고, 환자수는 2050년 18.5%, 2080년 30.9% 각각 증가할 것"이라고 추정했다.


양식환경연구소 김지회 연구관도 "요 몇 해 사이 진해만의 마비성패류독소 발생시기가 점차 앞당겨지고 있다"며 "온난화로 인한 수온 상승으로 우리나라 연안에서 출현하지 않았던 아열대성 새로운 종의 패류독소 원인 플랑크톤도 출현할 것"으로 예상했다.


또한 최근 연근해 해역에서 아열대성 어종이 자주 나타나는 것으로 볼 때, 현재까지는 열대 및 아열대 해역에서만 분포하고 있는 '시과테라'(Ciguatera)와 같은 특이한 독소를 가진 어류도 연안에서 출현할 것으로 예측됐다.


시과테라는 열대 및 아열대 해역의 산호초 주변에 서식하는 특정한 물고기에 함유된 해양생물독으로 중독 시 설사, 복통, 메스꺼움, 구토 등 소화기계, 맥박상승, 혈압저하 등 순환기계 및 두통, 피로감, 현기증, 심한 가려움증, 착감각증(차가운 물체에 닿았을 때 뜨겁게 느껴지는 증상) 등 신경계 증상을 나타낸다.


양식환경연구소 하광수 연구사는 "연안에 서식하는 패류의 위생안전성에 영향을 미칠 정도의 1일 20mm 이상 강우는 주로 여름철에 발생하는데, 기후변화로 인해 집중 강우 발생빈도가 높아짐에 따라 연안의 패류양식장이 육상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에 노출되는 기간이 패류 수확기까지 연장될 것"으로 예상했다.


오늘 세미나에서는 식품의약품안전청과 국립수산과학원의 전문가로부터 최근 발생되고 있는 식중독과 해양생물독소의 장기 변동추이와 패류양식장 위생관리에 대한 보고가 있었으며, 지구온난화 등 기후변화에 따른 수산식품 위생안전관리 대처방안 수립을 위한 토론회도 가졌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09-08-27 17:20:06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오대산 ‘복수초’ 개화…봄 ‘성큼’
  • ‘동해 품은 독도’ 촬영하는 박용득 사진작가
  • <포토>‘어도를 걸을 때’
최신뉴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