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봉기 기자
반기문 외교통상부장관은 5일 "다음달 초로 예정된 제5차 6자회담 이전에라도 각측이 능동적인 조치를 할 수 있도록 관련국과 협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반 장관은 오늘 세종로 외교부청사에서 정례브리핑을 갖고 "이달중 6자회담 우리측 수석대표인 송민순 차관보를 미국과 중국에 보낼 예정"이라면서 이같이 말했다.
반 장관은 "관련국과의 협의는 상호 조율된 조치에 입각해 핵폐기 및 상응조치를 중심으로 구체적 조치사항과 연계 구도를 합리적으로 설정하는 작업이 될 것"이라며 "지난 4차 회담의 공동성명이 '말 대 말' 합의라면 5차회담의 공동성명 이행문제에 대한 논의는 '행동 대 행동'에 대한 협의인 만큼 더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행협상 기복 예상되지만 흔들림 없이 회담준비
반 장관은 "정부는 그간 두 차례의 장관급 회담을 통해 차기회담에 대한 구상을 면밀하게 하고 있다"면서 "이행협상 단계에서 적지 않은 기복이 예상되지만 일희일비하지 않고 흔들림 없이 회담을 준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반 장관은 5차 6자회담의 구체적인 시기와 관련해서는 "각국의 대표들이 협의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공감대가 형성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KEDO에 대한 정부입장에 대해 반 장관은 "지난번 북한에 대북송전을 제의에서 밝힌 바와 같이 KEDO에 의한 신포경수로는 종료하는 것으로 생각한다"면서 "다만 프로그램 종료이후 행정적, 법적 절차가 남아 있어 적절한 기간동안 KEDO 조직자체는 존속해서 잔무를 처리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반 장관은 또 쌀협상 국회비준 지연과 관련 "비준이 안될 경우, 양허표 개정안이 발표되니 않을 것이고 WTO 농업협정부속서 5B 제10항에 따라 관세화 의무가 발생한다"며 "그렇게 되면 우리 농업의 경쟁력이 확보되지 않아 준비가 부족한 농가에 큰 타격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하루속히 비준 처리돼야 할 것이라는 점을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