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절약전문기업도 중소기업은 찬밥
기사 메일전송
에너지절약전문기업도 중소기업은 찬밥 지난 12년간 중소기업 퇴출율 53.5% 진입장벽 높아 문 닫는 사업장 속출
  • 기사등록 2005-10-04 22:53:58
기사수정

중소규모 ESCO(에너지절약전문기업사업체)의 사업포기율이 53.5%로 대기업의 21.6%보다 두 배 이상 높아 시장에서 실패하고 퇴출되는 상황이 심각한 것으로 조사됐다.


국회 산업자원위 소속 김태년 의원(열린우리당, 성남시 수정구)이 에너지관리공단으로부터 보고받은 에너지절약전문기업(ESCO) 자료 분석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김태년 의원은 "성과배분제도라는 ESCO사업의 특성상 투자가 활성화될 수록 기업의 부채가 증가하고 있다"며 "성과배분제도가 중소기업 퇴출의 한 원인을 제공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에너지이용자들은 성과보증제보다 성과배분제의 계약방식을 선호하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ESCO사업 활성화는 기존 중소기업 및 신규 진입하는 중소기업들을 위해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는 것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일본의 경우, 자발적인 에너지 수요관리 및 절약계획에 포괄적 공장 검사제도 및 에너지관리시스템을 도입해 ESCO사업과 적극적인 연계를 맺는 것도 벤치마킹의 대상이 된다.


ESCO사업을 유지하고 있는 중소기업들 역시 "연초에 바닥나는 지원자금으로 사업을 계속 유지할 수 있는가에 회의적"이라며 "비싼 등록유지 비용을 감당하기 어려워 포기하려는 마음이 굴뚝같다"고 밝히는 상황이다.


김태년 의원은 ESCO사업에서 이미 퇴출되었거나 사업을 포기한 기업들의 인터뷰 결과, 대부분의 업체들이 "막대한 자본금을 투자해 ESCO사업의 등록기준을 갖추었지만 사업기회가 별로 없고, 대기업 위주의 대형과제들만 살아남아 중소업체들에게는 진입장벽이 높다"는 한결같은 하소연이 있었다고 전했다.


김 의원은 "에너지관리공단과 고효율조명기기업체, 지방자치단체가 참여하는 전국적 단위의 고효율 조명기기 대체 사업 등을 추진해 중소기업에게 신규시장을 창출하고 사업영역을 확보해 주는 노력 등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05-10-04 22:53:58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오대산 ‘복수초’ 개화…봄 ‘성큼’
  • ‘동해 품은 독도’ 촬영하는 박용득 사진작가
  • <포토>‘어도를 걸을 때’
최신뉴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