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태 기자
국립공원 탐방객들이 늘면서 탐방로 훼손 또한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이를 복구하는데 46년 이상 소요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의 국립공원관리공단에 대한 국정감사가 진행된 지난 29일, 열린우리당 김영주 의원은 "공단의 훼손된 탐방로 복구는 지난 02년부터 작년까지 총 18.08km에 그쳐 향후 이같은 속도로 복구할 경우, '01년 조사된 279km의 훼손 탐방로를 복구하는데는 46년3개월이 소요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김 의원은 지난 22일 환경부 본부 국감장에서 한려해상국립공원지역 폐기물 실태를 담은 동영상 자료를 제시한 이어 이날도 설악산 국립공원 탐방로 훼손지역에 대한 실태조사를 촬영한 동영상 자료를 공개했다.
김 의원에 따르면 지난 3년간 훼손된 탐방로를 복구하기 위한 공단의 총 예산은 72억원으로 연평균 24억원이었다. 특히, 18개 국립공원은 연간 1억3천만원에 불과해 대부분의 훼손된 탐방로가 방치된 실정이다.
또한, 지난 '01년 이뤄진 훼손된 탐방로 조사 이후 신규 훼손 탐방로 조사는 거의 진행되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다.
김 의원은 "지난달초 설악산국립공원의 오색에서 대청봉, 천불동 계곡을 직접 조사해 소청봉의 나대지화, 공단에서 파악하지 못한 소청봉에서 희운각구간의 훼손실태를 목격했다"고 밝히고 "오색에서 대청봉구간은 기존 탐방로 복구공사가 이뤄지고 있으나 탐방시설이 파괴돼 흉물스럽게 방치돼 있었고, 소청봉은 나대지화돼 복구가 시급히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소청봉에서 희운각대피소 구간은 '01년 조사에서 나타나지 않은 신규 훼손구간으로, 경사가 급격해 나무가 뿌리째 넘어가는 등 훼손이 심각했다"고 전했다.
이날 국감에서는 공원 탐방객들의 노상방뇨, 흡연행위, 계곡에서의 양치질, 식사, 목욕 등 각종 불법행위와 함께 양폭산장에서 판매를 금지시킨 주류가(맥주, 막걸리) 버젓이 팔리는 현장도 공개됐다.
이같은 문제점에 대해 김영주 의원은 "사람들의 과도한 이용이 탐방로 훼손의 원인이기 때문에 적정수준의 탐방객 유지를 위해 '구간이용요금제', '구간사전예약제', '탐방로 이용정도에 따른 지역구분제'의 시법도입이 필요하다"고 제안하고 "기훼손된 탐방로와 신규탐방로에 대한 실태조사와 함께 이를 복구하기 위한 예산의 집중적 투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또, "국립공원을 관리하는 공단의 관리감독 강화를 위해 성수기만이라도 특정지역에 전담요원을 배치, 안전사고와 불법행위를 방지해야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