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 SMS 서비스로 적극적인 패류독소 예방 추진
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경남도는 매년 봄철 남해안 일원에서 발생하는 마비성 패류독소로 인한 피해예방 및 안전한 수산물의 생산·공급 등 안전성 확보를 위한 신속한 상황전파와 발생 단계별 예방대책 등을 주요내용으로 하는 "2009년 패류독소 피해예방 종합대책"을 마련, 연안 시군 및 유관기관에 시달했다.


패류독소 발생시 SMS(단문문자서비스)를 이용 어업인, 유통가공업체, 유관기관 및 공무원 등에게 실시간으로 정확한 발생상황 전파와 함께 기준치 초과해역 및 해당 품종에 대해서는 신속한 패류채취 금지 명령을 발부하고, 합동대책반 운용, 부적합한 수산물의 유통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등 발생 단계별로 적극적인 피해예방 대책을 마련, 추진키로 했다.


패류독소는 유독성 플랑크톤을 섭취한 패류 등의 체내에 독성이 축적된 것을 사람이 섭취함으로써 발생하는 것이다. 최근 5년간 마비성 패류독소 발생추이를 분석한 결과, 수온 7∼10℃에서 발생, 3∼4월경 수온 11℃ 내외에서 허용기준치를 초과했으며, 수온이 18℃이상 되는 5월말 이후 소멸되기 시작하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주로 발생하는 지역 및 품종은 진해, 마산, 거제, 고성, 통영 등 진해만 일원에서 생산되는 진주담치와 굴 등이다.


한편, 도는 2006년 전국 최초로 SMS(단문문자서비스)를 도입해 운영하고 있으며, 금년에도 어업인, 유통가공업계, 공무원 등 305명에게 패독 기준치를 초과하면 매주 2회 패류독소 정보를 제공하고 해상순회 안내방송, 마을별 담당자 지정 등 신속하고 능동적인 피해예방 대책으로 단 한건의 인명피해도 발생하지 않도록 적극적인 예방대책을 펼칠 계획이다.


아울러, 경남도는 어업인 및 관련업계 종사자, 낚시꾼들은 도 및 시군의 패류독소 발생상황에 따른 상황전파 및 지도내용에 적극 협조해 줄 것을, 그리고 소비자들은 시중에 유통되는 양식패류는 안전한 해역에서 생산된 품목이므로 원산지를 확인 후 안전하게 소비해 줄 것을 당부했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09-03-09 19:34:55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오대산 ‘복수초’ 개화…봄 ‘성큼’
  • ‘동해 품은 독도’ 촬영하는 박용득 사진작가
  • <포토>‘어도를 걸을 때’
최신뉴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