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온실가스배출량 증가율 소폭 증가
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율이 소폭 증가세로 반전했다.


지식경제부가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협의회와 외부 전문가 검토를 거쳐 발표한 2006년도 국가 온실가스 배출통계에서 이같이 조사됐다.


지경부에 따르면 2006년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은 599.5백만tCO2로 2005년 594.4백만tCO2 대비 5.1백만tCO2, 0.9% 증가했다. 이는 선진국 의무감축기준년도인 1990년 배출량(298.1백만tCO2)대비 101.1%(301.4백만tCO2) 증가한 규모로 연평균 4.5%의 증가세를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배출량 증가세는 1999년 9.7%를 기록한 이후 꾸준한 감소세를 이어왔으나, 2006년에는 소폭 증가세로 반전됐다.


이는 총배출량의 10.6%를 차지하는 산업공정부문이 1.8% 감소했으나, 감소폭이 둔화(2005 △5.3%→2006 △1.8%)됐고, 폐기물부문이 증가세로 전환(2005 △9.5%→2006 2.9%)한데 기인한다.


부문별 배출량은 에너지부문이 1.4%, 폐기물부문이 2.9% 증가한 반면, 산업공정부문은 1.8%, 농업부문은 6.4% 감소했다. 총배출량의 84%을 차지하는 에너지부문의 증가(1.4%) 요인은 발전설비 증설(당진 50만kW, 남제주 80만kW, 광양 99만kW), 수송부문 에너지소비증가(2.7%) 등에 기인한다. 다만 1차 에너지 소비증가율 둔화*(2005 3.8%→2006 2.1%)에 따라 에너지부문 온실가스 증가율도 감소(2005 1.9%→2006 1.4%)를 지속했다. 폐기물부문의 증가(2.9%)는 생활폐기물 소각처리량 증대와 IPCC 가이드 적용에 따른 신규 배출항목 추가에 따른 CO2배출량 증가 등에 기인한다.


산업공정부문은 시멘트생산량 감소, 암모니아 및 아디핀산 생산 감소 등으로 인한 화학업종의 배출량 감소(2005년 대비 13.5% 감소) 및 CDM사업에 따른 배출량 감소의 영향으로 2005년 대비 1.8% 감소로 감소세를 이어갔다. 농업부문은 질소질 비료 시비량 감소와 벼 재배면적 감소로 2005년 대비 6.4% 감소했다.


온실가스별로는 총배출량의 89%를 차지하는 이산화탄소가 1.3%, 메탄이 0.3%, SF6가 6.9% 증가한 반면, 아산화질소(N2O) 13.9%*, HFCs 9.1%*, PFCs는 2.4% 감소했다.


기후변화협약에 가입한 모든 당사국들은 온실가스 배출량에 관한 국가통계를 작성하고, 온실가스 통계 작성체계 유지에 필요한 제도, 법, 절차 등을 구축토록 하고 있다.


국가온실가스통계 기반구축은 기후변화대응의 가장 기본적인 사항으로, 온실가스 총배출량의 94.9%를 차지하는 에너지·산업공정부문 배출을 관장하는 지경부는 1994년부터 IPCC 가이드라인에 따라 에너지, 산업공정, 농축산, 폐기물, 흡수원에 관한 온실가스 배출통계를 관련부처, 연구기관과 협조하여 매년 작성, 관리하고 있다.


금번 2006년 국가온실통계는 부문별 작성기관과 협조해 최초로 의무감축국가가 UN에 공식보고하는 양식(CRF; Common Report Format, 공통보고양식)으로 작성, 외부 전문가 검토(QA; Quality Assurance)를 거쳐 온실가스 배출통계의 신뢰성을 높였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09-02-02 13:07:32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오대산 ‘복수초’ 개화…봄 ‘성큼’
  • ‘동해 품은 독도’ 촬영하는 박용득 사진작가
  • <포토>‘어도를 걸을 때’
최신뉴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