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진용 기자
상수원 중심의 정책에서 그동안 관심이 부족했던 하천 하류와 전 유역으로 관리대상을 확대하고 물의 안정성 확보와 수생태계 회복에 중점을 두는 선진적 물관리 기반을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이재용 환경부장관은 29일 출입기자단 정례브리핑을 통해 "올해는 지난 '98년부터 추진해 온 4대강 물관리 종합대책의 목표연도지만 사전예방적인 정책은 미흡했다"고 밝히고 "내년부터 2015년까지 10년간의 수질정책 기본방향을 담을 4대강 대권역 기본계획을 수립중"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 장관은 앞으로의 수질정책 추진방향에 대해 "수질정보 제공에 한계가 있었던 BOD 위주의 정책에서 앞으로는 물의 이용목적에 따라 수질환경기준을 설정하고 화학물질 기준도 현행 9종에서 30∼40종으로 확대하는 등 종합적인 수질평가체계를 구축하겠다"며 "수질오염총량제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해 전담부서 설치 등 사후관리를 철저히 하는 한편 산업 고도화에 따른 수질유해물질 종류를 점차 확대하고, 비점오염원과 가축분뇨에 대한 정책도 꾸준히 보완·발전시킬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 장관은 이어 "하천의 수질이 좋아지면 주거환경도 쾌적하고 우수한 곳으로 평가받는다"며 "재임 기간중 수질정책에 대한 제대로 된 로드맵을 만들어 하천이 주민들과 살아 숨쉬는 공간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