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산·학협력 적극 지원키로
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산업자원부, 교육인적자원부, 노동부 등 3개 부처는 지난 2일 산학협력확산사업 운영위원회(위원장 박항구 소암시스텔 회장)를 열고 최우수 실험실, 산학협력중심 전문대학, 성장동력 특성화대학 등 금년에 신규 추진한 5개 사업별로 최종 지원대상 기관을 확정·발표했다.


산학협력확산사업은 작년에 산자부와 교육부가 최초의 부처공동사업으로 추진한 바 있는 산학협력중심대학사업(제1기 산학협력확산사업)에 이어, 노동부가 신규로 참여하고 지원대상도 4년제 대학에서 대학원, 2년제 대학, 실업고, 산업별 인적자원개발협의체 등으로 확대했다.


이번 사업은 지난 5월 부처 공동 사업공고 이후 6∼7월까지 2개월 동안의 평가과정을 거쳤으며 평균 경쟁률은 3:1을 상회했다.


세부사업별로 살펴보면, 첫째, 10대 차세대 성장동력분야별로 국내에서 최고 수준의 연구실적과 산학협력 활동을 보여주는 대학원 교수와 실험실을 지원하는 '최우수 실험실(Lab of Excellency)사업'의 경우 전국에서 총 151개 실험실이 신청하여 최종적으로 52개 실험실이 선정됐다. 최종 선정결과 여성이 총괄책임자이거나 소속 석·박사중 2인 이상이 여성인 실험실이 전체의 52%를 차지했다.


둘째, 지역전략산업 및 성장동력분야 중간기술인력 양성을 위해 전문대와 기능대를 대상으로 3∼4년, 연간 8∼10억원 내외를 지원하는 '산학협력중심 전문대학 육성사업', '성장동력 특성화대학지원사업'은 각각 29개중 10개, 64개중 20개 대학이 선정됐다. 기존에 교육부는 전문대, 노동부는 기능대 지원의 틀을 벗어나, 전문대와 기능대가 동시에 경쟁한 최초의 사업으로 최종적으로 전문대는 22개, 기능대는 8개가 포함됐다.


셋째, 실업고를 기존에 직업교육기관에서 이공계 인력양성을 위한 조기교육기관으로 탈바꿈하기 위한 시범사업인 '산학협력 우수실업고지원 사업'은 16개 시·도별 1차 예비경선을 거쳐 추천된 43개 실업고 중에서 최종 20개 실업고가 선정됐다. 교육부 이외에 산자부와 노동부 등 타 부처가 지원한 유일한 사업으로 20개 학교 선발에 70개교가 참여하는 등 일선 학교에서 높은 관심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민간 주도의 인적자원개발을 도모하고자 업종에 특수한 인력수급현황분석 및 인력양성을 목적으로 하는 '교육훈련혁신센터사업'은 신청한 10개 기관중 지원자격 논란이 있었던 1개 기관을 제외한 나머지 9개 기관이 선정됐다. 여기에는 산업별 인적자원개발협의체(Sector Council)가 금년 3월에 출범돼 운영초기 단계인 점을 감안, 협의체간 균형발전 필요성이 고려됐다.


산자부 관계자는 "금번 3개 부처 공동의 '제2기 산학협력확산사업'은 인력수요부처인 산업자원부와 인력공급부처인 교육부, 노동부가 공동 참여함에 따라 정책의 효과성이 그 어느 때보다 높을 것"이라며 "연간 2만5천여명의 이공계 핵심인력이 이번 사업에 참여하고, 올해부터 오는 '08년까지 4년간 3만여명의 산업현장 밀착형 인력이 산업계로 배출될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또, "교육 기관간 연계를 통해 산학협력형 인력양성 기반이 구축되고, 장기적으로는 선택과 집중에 따른 교육기관의 경쟁력 강화와 대학특성화도 촉진될 것"이라고 말했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05-08-03 09:07:36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오대산 ‘복수초’ 개화…봄 ‘성큼’
  • ‘동해 품은 독도’ 촬영하는 박용득 사진작가
  • <포토>‘어도를 걸을 때’
최신뉴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