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장 포름알데히드 농도 높아
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시설보수와 내장재 교체가 잦은 전시장이 포름알데히드 농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환경부가 전국의 262개 예식장, 전시장, 실내체육관, 사회복지시설을 대상으로 작년 6월부터 금년 7월까지 고려대학교(연구책임자 생명환경학부 손종렬 교수)에 의뢰해 실내공기질 오염도 및 관리실태를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이번 다중이용시설 실내공기질 실태조사에서 전시장의 경우, 포름알데히드가 19.1∼381.0㎍/㎥(평균 112.3㎍/㎥), 총휘발성유기화합물도 10.2∼2,241.5㎍/㎥(평균 437.6㎍/㎥)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이는 주기적인 리모델링 등으로 내장재를 자주 교체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예식장의 경우, 이산화탄소 농도는 375∼4,820ppm(평균 923.1ppm)으로 조사대상 37개 시설 중 9개 시설이 기준(1,000ppm)을 초과해 환기설비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미세먼지는 20.7∼136.7㎍/㎥(평균 67.8㎍/㎥)로 전반적으로 '공중위생관리법'에 의한 관리기준(150㎍/㎥)을 만족했다.


실내체육관은 총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가 26.5∼1,387㎍/㎥(평균 333.5㎍/㎥)로 측정돼 친환경건축자재의 사용 등 관리대책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실정이다.


사회복지시설(부녀자, 노인, 장애자, 아동시설)은 다른 오염물질보다 미세먼지가 14.2∼256.7㎍/㎥(평균 : 59.1㎍/㎥), 부유세균이 5.0∼769.0㎍/㎥(평균 173.7㎍/㎥)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오염도에 민감한 이용계층과 장기체류 등의 시설특성을 감안할 때 호흡기 질환예방을 위한 환기개선, 습도조절 등의 위생관리가 절실히 요구된다. 사회복지시설 중에는 장애인시설, 노인시설, 부녀자시설의 순서로 실내공기질 오염도가 높았으며, 아동시설은 비교적 실내공기질이 양호한 것으로 조사됐다.


환경부 박미자 생활공해과장은 "이번 실내공기질 조사결과를 토대로 관계부처와의 협의를 거쳐 관리기준 또는 근거가 없는 시설에 대한 관리근거를 마련하고 시설별로 권고기준을 제시하는 등 다각적인 관리대책을 수립할 계획"이라며 "사회복지시설 등 소규모 시설에 대해서는 시설관리자 등을 위한 관리지침을 개발해 사업자의 자율관리를 유도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07-12-25 11:27:56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오대산 ‘복수초’ 개화…봄 ‘성큼’
  • ‘동해 품은 독도’ 촬영하는 박용득 사진작가
  • <포토>‘어도를 걸을 때’
최신뉴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