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폐금속광산 오염기준 초과 ‘수두룩‘
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충남지역 23개 폐금속광산 가운데 절반이 넘는 12개 광산에서 토양오염기준이 초과됐다.


환경부는 기준을 초과한 12개 광산과 오염개연성이 높은 3개 광산을 포함한 15개 광산에 대해 토양오염복구 및 방지대책을 위한 복구 우선순위를 선정했다.


18일 환경부에 따르면 지난해부터 14개월에 걸쳐 충남지역에 산재된 폐금속광산중 오염이 우려되는 광산 23개소에 대한 토양오염실태조사를 벌였다. 조사는 기초조사, 예비조사, 정밀조사를 거쳐 복원방지대책의 필요성을 검토한 후 오염범위를 산정하고 정비방안을 제시했다. 아울러 복구 또는 관리가 필요한 광산들에 대해 우선순위를 마련했다.


기초조사는 토지사용 이력 및 광미 등 주요오염원의 유무 등과 영향권내 인구분포, 용수실태 등을 확인하고 예비조사는 토양 및 수질오염도를 분석했다. 기초조사 및 예비조사결과 광미유실의 흔적이 없고 오염도가 낮아 방지대책이 필요 없는 광산은 조사를 종결하고 오염우려가 있는 광산은 주변의 토양, 저질토, 하천수, 지하수를 분석하는 정밀조사를 벌였다.


우선순위는 광미·폐광석적치량, 오염면적 및 토양·수질오염도, 주변의 주민거주 실태 등을 정도별로 점수화해 종합적으로 평가, 설정했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논산시에 소재한 덕풍광산 등 12개 광산의 주변이 토양오염우려기준을 초과했으며 이중 대책기준을 초과한 광산은 삼광광산 등 9개 광산으로 나타났다.



또, 오염원인이 되고 있는 광산들의 주요내용을 보면 광미적치량은 삼광광산이 1,125,000㎥로 가장 많았고 임천광산(90,000㎥)과 전의광산(2,400㎥)이 비교적 많은 양이 적치됐다. 덕곡광산과 수복광산은 각각 200㎥, 300㎥가 자연 방치됐다. 폐광석의 경우, 삼광광산이 12,000㎥, 덕곡광산과 대흥광산이 각각 약 1,000㎥정도가 산사면에 방치됐다.


토양 오염도는 전체 512개 지점중 15%인 77개 지점이 토양오염우려기준을 초과했고 이중 51.9%인 40개 지점은 대책기준을 초과했다. 초과한 지점을 토지용도별로 살펴보면 임야(51.9%), 논(18.2%), 밭(29.9%) 순으로 초과율이 높게 나타났다.


항목별 최고치는 서성광산의 카드뮴(74.037㎎/㎏)과 아연(5,782.490㎎/㎏), 삼광광산의 비소(1,025.128㎎/㎏), 아미산광산의 구리(230.980㎎/㎏), 근암광산의 니켈(107.220㎎/㎏), 덕풍광산의 납(9,531.980㎎/㎏)이었다.


광산 주변지역의 수질 분석결과는 서성광산 등 5개 광산에서 기준을 초과했다. 지하수의 경우, 덕곡(F:3.1mg/L), 서성(Cd:0.007mg/L), 중앙(As:0.053mg/L), 아미산(SO4:395 mg/L)광산이 먹는물 수질 기준을 초과했다. 덕곡(As:0.061mg/L), 삼광광산(As: 0.405~1.131mg/L, SS:84mg/L)의 경우는 하천수 수질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갱내수는 5개 광산에서 유출되고 있으나 모두 지하수의 먹는물 수질기준 이하로 나타났다.


환경부는 먹는물 수질기준 정비방안으로 15개 정비대상 광산 대부분이 산중에 오염지역이 분포돼 외부 반출을 위한 진입로 개설, 처리부지 확보 등의 추가조치가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따라서 최대한 현장에서 적용이 가능한 자체정화(차폐)방안, 고형화·안정화 방안 등을 고려했으나 실제 복원사업을 위한 실시 설계에는 세부검토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조사 결과를 토대로 광산별 주요 오염 원인물질, 주변 오염현황 및 오염상태, 거주 주민과의 거리 등을 계량화해 복원·관리 우선 순위를 제시했다. 우선 순위는 삼광, 서성, 덕곡, 임천, 수복, 덕풍, 전의, 아미산, 중앙, 대흥, 병사, 근암, 보흥, 광성, 금본 순으로 평가됐다. 삼광, 서성, 덕곡, 수복, 전의광산 외에는 오염확산의 우려가 적어 긴급한 복원사업보다는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삼광광산과 서성광산은 현재에도 많은 양의 광미 및 폐(광)석이 하류로 유실되고 오염범위가 광범위해 조속한 복원 사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 김진석 토양지하수과장은 "이번 조사결과를 복원(광해방지)사업 주관 부처에 제공, 긴밀한 협조를 통해 복원사업이 시급한 광산은 광해방지사업이 우선 시행될 수 있도록 요청할 예정"이라며 "이번 조사결과를 폐광지역 등 취약지역 주민 건강영향조사사업 대상지역 선정에도 반영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 과장은 이어 "현재까지 복원사업이 완료된 광산은 환경오염 영향조사를 지속적으로 실시하는 등 사후관리를 강화해 나갈 방침"이라며 "이번 조사에 포함되지 않은 687개 폐금속광산도 내년부터 개황조사를 실시하는 한편 향후 개황조사결과 정밀조사 대상 광산을 선정해 연차별 정밀조사를 실시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05-07-19 08:46:01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오대산 ‘복수초’ 개화…봄 ‘성큼’
  • ‘동해 품은 독도’ 촬영하는 박용득 사진작가
  • <포토>‘어도를 걸을 때’
최신뉴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