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진용 기자
산업자원부가 지방자치단체와 손잡고 지역의 환경보전과 기업경쟁력 제고를 동시에 달성하는 '지속가능산업도시' 만들기에 나섰다.
산자부는 오스트리아 그라츠(Graz)市에서 시작된 세계적 청정생산 방법론인 '에코프로피트(ECOPROFIT)' 프로그램을 국내에 도입, 서울시 등 4개 지자체와 함께 향후 2개년에 걸쳐 추진한다고 10일 밝혔다.
'에코프로피트'는 지방정부와 전문컨설턴트가 기업에 대한 청정생산지도, 기술보급, 환경경영 등을 통합 지원, 지역 산업의 지속가능성을 제고하는 민·관 협력프로그램으로, 세계 약 17개 국가 및 1,500여 기업이 참가해 에너지절감, 폐기물저감 및 생산비용절감 등의 성과를 거두고 있다.
이번에 국내에서 추진되는 'ECOPROFIT KOREA' 프로그램에는 서울, 인천, 대구, 부산 등 4개 지자체와 약 14개 환경관련 컨설팅사가 참여해 지역 기업의 친환경 생산을 지원하게 된다.
각 지자체의 담당공무원 및 컨설턴트들은 오스트리아에 있는 ECOPROFIT 전문기관으로부터 기업의 친환경생산 지원을 위한 전문교육훈련을 받게 된다. 이를 위해 우선 11일부터 16일까지 인천시·대구시의 기업지원 담당공무원, 환경컨설턴트 및 연구원 등 총 11명으로 구성된 제1차 핵심선발대가 오스트리아로 파견된다.
향후 사업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게 될 선발대 참여자들은 기업에 대한 청정생산 및 환경경영 컨설팅 기법, 국제환경규제 교육, 해외 성공추진 사례 등을 교육받게 된다. 교육훈련과정을 마친 지자체 담당자는 'ECOPROFIT 인증'을 받은 컨설턴트와 함께 지역 소재의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실제적인 성과 도출을 위한 지원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산자부 관계자는 "이번 교육훈련을 통해, 그간 환경감시자 역할에 치중해 온 지자체는 적극적인 환경컨설턴트로 변신해 지역 산업의 환경경쟁력을 제고하는데 앞장서게 된다"며 "기업은 친환경 생산공정 및 환경경영체제의 구축 등에 도움을 받아 생산성 향상에 더욱 치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산자부는 4개 광역시의 사업성과에 따라 향후 기타 지자체로도 이번 사업을 확대해 나간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