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실가스 감축 없으면 58조원 손실
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전세계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아무런 대책도 실행하지 않는다면 오는 2100년 한반도의 기온은 약 3도 정도 상승, 연간 약 58조원의 경제적 피해가 발생할 것으로 예측됐다.


그러나 전세계가 교토 의정서를 준수할 경우, 2100년 피해액이 약 20조원 정도로 감소될 것으로 전망됐다.


이는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KEI)이 기후변화정책 분석모델(PAGE, Policy Analysis of Greenhouse Effect)을 이용해 여러 온실가스 배출 시나리오에 따른 기후변화의 피해 비용을 분석한 결과다.


기후변화 정책분석 모델결과는 기후변화 적응정책이 온실가스 배출저감 정책보다 장기적으로 경제적인 정책임을 보여주며 적응정책의 강화가 시급함을 보여준다.


국내외 기후변화 영향에 관한 선행 연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기후변화의 민감도는 경제 협력개발기구 (OECD) 회원국들과 유사한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분야별 영향평가가 이뤄져야 보다 구체적으로 정량적인 기후변화의 피해함수 추정이 가능하다.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정도는 온실가스 배출량, 이산화황 배출량, 적응정책의 정도, 경제 성장, 인구 성장 등 많은 인자들의 영향을 받는다. 연구원은 미래의 여러 상황에 따른 기후변화의 피해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3가지 시나리오를 PAGE 모델을 이용, 분석했다.


우리나라에서 시급한 주요 적응대책으로는 기후변화와 연관된 수자원 관리계획의 수립, 기후 관련 재난 방재 시스템 구축, 기후변화에 대비한 새로운 경작방법의 개발, 고온 경보 시스템의 도입 등이 제안됐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07-06-04 15:28:54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오대산 ‘복수초’ 개화…봄 ‘성큼’
  • ‘동해 품은 독도’ 촬영하는 박용득 사진작가
  • <포토>‘어도를 걸을 때’
최신뉴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