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각장 브롬화다이옥신 발생량 적어
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폐기물 소각장에서 배출되는 브롬화다이옥신 농도가 우려할 만한 수준은 아닌 것으로 조사됐다.


소각장에서 브롬화다이옥신이 발생되는 원인은, PBDEs(Polybrominated diphenylethers) 등 브롬화난연제가 들어있는 플라스틱 및 전기제품 등을 소각하거나, 열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된다.


국립환경과학원(윤성규 원장)은 우리나라 사업장 및 생활폐기물 8개 소각시설을 대상으로 배출가스 및 소각재의 배출특성을 조사한 결과, 평균 0.002ng-TEQ/Nm3, 비산재 평균 0.003 ng-TEQ/g이었다고 밝혔다. 이는 독일, 일본, 우리나라 등에서 정한 염화다이옥신 규제기준의 약 2% 정도에 그치는 수리라는 설명이다.


다.


브롬화다이옥신은 폐기물관리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염화다이옥신의 염소가 브롬으로 치환된 다이옥신이다. 세계보건기구(WHO)에서 염화다이옥신과 독성이 비슷하다고 보고하고 있으나, 폐기물 소각시설의 배출가스 중 브롬화다이옥신을 규제하는 나라는 아직 없는 실정이다.


과학원 유기물질분석연구과 권명희 연구관은 "극미량 분석장비를 이용해 표준화된 분석방법을 국내 최초로 확립, 측정분석결과의 신뢰도를 향상시키겠다"면서 "후속 연구자들에게 브롬화다이옥신의 발생원인 등 배출시설에서의 저감기술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지속적으로 환경 매체별 연구를 실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07-04-25 20:47:31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오대산 ‘복수초’ 개화…봄 ‘성큼’
  • ‘동해 품은 독도’ 촬영하는 박용득 사진작가
  • <포토>‘어도를 걸을 때’
최신뉴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