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성탄흡착시설로 시화ㆍ반월 악취개선
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맞춤형 활성탄흡착시설이 시화ㆍ반월사업단지 지역의 악취 개선에 기여할 전망이다.


시흥환경기술개발센터(센터장 서만철 교수)는 시화ㆍ반월산단의 지역 현안사항인 악취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금년도 연구사업으로 '시화ㆍ반월산단의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발생 업종별 활성탄카트리지 흡착기술 적용가능성 조사연구' 등 7개 과제를 선정해 추진키로 하고, 시흥지역 행정협의회(위원장 수도권대기환경청장)에서 이를 확정했다.


시화ㆍ반월산단은 중소업체가 밀집하고, 대부분 주거지역과 인접해 악취민원이 많이 발생됐다. 또 완충녹지 조성, 맞춤형 기술지원, 방지시설 기술 및 설치자금 지원, 실시간 악취모니터링시스템 구축 등 여러 정책 등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지난 2004년부터 2010년까지 해마다 조사하고 있는 시화ㆍ반월지역대기배출업체 전수조사 결과에 따르면, 조사대상 1,74개 업체 중 대기오염방지시설로 활성탄흡착시설을 설치한 업체가 377개(25.6%)인 것으로 나타났다.


활성탄흡착시설은 다른 대기오염방지시설에 비해 초기 투자비가 저렴하고, 비교적 손쉽게 대기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활성탄을 자주 교체해야 함으로써 비용부담 문제, 재생의 어려움 등의 문제점이 있어, 자칫 활성탄을 제때에 교체하지 않을 경우, 악취 등 오염물질이 전혀 처리되지 않고 대기중에 배출될 수 있다.


시흥센터는 활성탄카트리지를 제작해 중소업체에 보급하게 되면 활성탄 교체에 따른 번거로움을 해소할 것으로 보고 잇다. 특히 제때에 교체가 가능하며, 교체된 활성탄은 재생해 다시 사용할 수 있어 비용부담도 훨씬 줄어들 것으로 내다봤다.


수도권대기환경청 관계자는 "활성탄흡착시설 중 맞춤형 카트리지가 시화ㆍ반월산단에 적용되면 그 동안 이 지역 현안사항인 악취문제가 획기적으로 개선될 것"이라고 밝혔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07-04-06 18:02:19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오대산 ‘복수초’ 개화…봄 ‘성큼’
  • ‘동해 품은 독도’ 촬영하는 박용득 사진작가
  • <포토>‘어도를 걸을 때’
최신뉴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