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사 가장 많은 해는 1941년
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우리나라에 가장 많은 황사가 발생한 해는 1941년으로 43일이었다.


기상청이최근 약 100년간(1915∼2006년) 서울에서의 황사일수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또 1937년에 32일, 2001년 27일, 1940년 26일 순이었다.


황사관측일수가 한 달 이상으로 많았던 해가 있는 반면에, 하루도 관측되지 않았던 해 도 있어 황사현상은 변동이 크다.


지난 100년 중, 1930년대 후반에 잦은 황사현상이 관측됐으며, 봄철이 아닌 가을과 겨울에도 관측됐으나, 86% 이상이 봄철(4월, 5월, 3월순)에 집중됐다. 여름철인 7월과 8월에는 지난 100년 동안 단 하루도 관측되지 않았는데, 이는 여름철 기류의 흐름이 남서풍(장마 등)이 우세하고 비가 오기 때문이다.


황사일수의 평년값(전국 28개소 기상관측지점의 1973∼2000년 평균임)은 3.6일이며, 재작년에는 5.1일, 작년에는 10.3일로서, 2000년 이후 점차 증가하는 추세다.


올해 서울에서 관측된 황사일수는 6일이고 금년 3월 31일부터 현재까지 나타나고 있는 황사는 올 들어 6번째 황사현상으로 황사특보제의 황사경보에 해당하는 매우 강한 황사다. 이처럼 서울에서 매우 강한 황사가 나타난 것은 2002년 3월 21∼22일, 2002년 4월 8∼9일, 2006년 4월 8∼9일에 이어 4번째로 기록됐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07-04-01 12:34:24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오대산 ‘복수초’ 개화…봄 ‘성큼’
  • ‘동해 품은 독도’ 촬영하는 박용득 사진작가
  • <포토>‘어도를 걸을 때’
최신뉴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