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시장, 금융기관 ‘새 놀이터‘
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지구 온난화의 주범인 온실가스는 인류 생존의 문제이자 21세기 경제의 화두로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인류 생존을 위해 온실가스를 감축해야 한다는 당위성은 국제사회의 중요한 아젠다로 정착했다.


이런 국제사회의 인식과 탄소시장이 급성장함에 따라 산업은행(총재 김창록)은 탄소시장 현황 및 전망, 탄소펀드 투자 동향, 금융기관의 탄소시장 진출 전략 등의 내용을 담은 '배출권 거래제도 시행에 따른 탄소펀드 현황'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26일 밝혔다.


세계 탄소시장은 급성장 중


세계적 헤지펀드 회사인 Man Group이 '새로운 놀이터(new playground)'라고 명명한 탄소시장은 2004년 이후 급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선진국 기업들이 고비용이 소요되는 온실가스 감소나 청정에너지 개발에 투자하기보다는 상대적으로 비용이 저렴한 배출권을 구매하기 때문이다. 2006년은 3분기까지 거래 규모가 215억 달러를 기록했으며, 2010년까지 약 1500억 달러 규모로 확대될 전망이다.


탄소시장이 급성장하면서 해외 금융기관들은 탄소시장을 친환경사업의 일환으로 표방하는 한편, 새로운 수익원으로 인식해 적극적으로 투자를 단행하는 등 진출을 서두르고 있다. 모건 스탠리의 경우 2006년 5월 온실가스 배출감소 프로젝트 등에 투자하기 위해 향후 5년간 30억 달러를 탄소 배출권 구입에 투자할 계획을 발표했다. 골드만 삭스, 메릴린치, 도이치 뱅크 등의 IB들도 사모펀드 조성, 해외 탄소펀드 지분 매입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탄소시장에 진출하고 있다.


탄소펀드 조성 붐


현재, 전 세계적으로 38개의 탄소펀드가 총 25억 달러 이상의 규모로 활동하며 탄소펀드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탄소펀드는 조성 방법에 따라 크게 공적기금 형태와 민간기금 형태로 구분되며, 탄소펀드를 통한 직접 참여 외에 간접투자 개념인 탄소 파생상품도 등장하고 있다.


대표적인 공적기금 형태의 탄소펀드는 World Bank 주도로 2000년 4월에 세계 최초로 만들어진 '프로토타입 카본 펀드(PCF)'다. World Bank는 현재 PCF를 포함하여 총 9개의 탄소펀드를 운영하고 있으며, 총 자본금은 약 19억 달러에 이르고 있다. 대표적인 민간 탄소펀드로는 2005년 6월 Fortis Bank, CDC 등 유럽의 9개 금융기관 주도로 만들어진 '유러피언 카본펀드(ECF)'가 있다. 한편, 탄소 관련 파생상품시장은 아직 활성화돼있지는 않으나 Sterling Waterford Securities가 2005년 세계 최초로 'Carbon Credit Note'를 출시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현재까지 국내에 조성되어 있는 탄소펀드 및 탄소 관련 파생상품이 전무한 실정이다. 다행히 정부도 우리나라가 2012년 이후 온실가스 의무감축국에 포함될 가능성을 고려하고 탄소시장의 잠재력을 인식해, 2007년 상반기 중 1,000억 원 규모의 국내 첫 탄소펀드를 조성하기로 했다.


산업자원부는 이렇게 조성된 자금을 온실가스 저감사업 관련 회사 주식, 온실가스 배출권, 다른 탄소펀드 등에 투자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산업자원부는 그 동안 일본 등 선진국 주도하에 추진되었던 국내 온실가스 저감사업을 국내에서 일원화해 운영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국내 금융기관 탄소시장 진출 서둘러야


산업은행 보고서는 토종 탄소펀드 육성으로 국내 금융기관이 탄소시장에서 주도권을 가지고 시장을 선도해 나가야 할 필요성을 강조했다. 자본시장 개방 후 해외 투기자본들이 투자이익의 해외 유출 등의 논란을 일으켰듯이, 금융기관이 탄소시장과 관련해 사전에 준비하지 않는다면 또 다시 해외기관에 주도권을 빼앗길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국내 금융기관들은 온실가스 저감 사업 개발을 위한 자금 지원, 사모펀드 조성으로 배출권 구매에 투자, 금융기관 주도의 탄소펀드 컨소시엄 구성, 탄소금융주식회사 설립 등을 통해 탄소시장에 진출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환경문제와 기업의 사회적 책임(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이 전 세계적 이슈가 되고 있는 상황에서, 탄소시장 진출을 통해 금융기관은 공공성과 수익성을 함께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07-03-26 12:47:07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오대산 ‘복수초’ 개화…봄 ‘성큼’
  • ‘동해 품은 독도’ 촬영하는 박용득 사진작가
  • <포토>‘어도를 걸을 때’
최신뉴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