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폐기물 줄고 음식물쓰레기 늘어
기사 메일전송
생활폐기물 줄고 음식물쓰레기 늘어 음식물쓰레기 분리수거 정착단계 발생량 전년동기 대비 11% 증가
  • 기사등록 2005-06-13 14:23:09
기사수정

환경부가 올해부터 실시한 음식물류폐기물 직매립 금지 정책의 150일(5개월) 추진성과를 분석한 결과, 생활폐기물의 발생량은 감소하고, 음식물류폐기물의 발생량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음식물류폐기물을 제외한 생활폐기물 발생량은 전년동기(1월∼5월) 대비 약 7.8% 감소한 반면, 음식물류폐기물 발생량은 분리수거 강화로 전년동기 대비 약 11%가 증가했다.


환경부 김두환 생활폐기물과장은 "음식물류폐기물 직매립 금지제도 시행후 분리수거가 정착되고 있다"면서 "이에 따라 생활폐기물을 처리하는 매립장의 수명 연장과 침출수 농도 저하는 물론, 악취발생이 줄어들고 음식물류폐기물을 재활용해 자원화하는 성과를 거두고 있다"고 밝혔다.


실제로 인천 수도권매립지에 올해 1월부타 5월까지 반입된 생활폐기물량은 53만6,000톤으로지난해 같은 기간의 반입량 85만톤에 비해 약 37% 감소됐다.


박선숙 환경부 차관은 " '음식물쓰레기 직매립금지 정책'은 완성된 정책인 아닌 현재 진행중인 정책"이라고 강조하고 " 재활용 가능한 음식물쓰레기는 최대한 활용하고 적절하게 처리해야 할 곳에서 제대로 처리하는지 여부를 지속적으로 살필 것"이라고 말했다.


환경부는 음식물류폐기물 직매립 금지제도를 보완, 발전시키기 위해 음식물류폐기물 전문가, 시민단체, 자치단체 공무원이 참여하는 '음식물류폐기물 정책포럼'(Foodwaste Forum)(20명)을 구성, 제1차 회의를 지난달 26일 개최한 바 있다.


회의에서는 포럼 개최 주기, 월별 토의 안건 등을 협의해 포럼은 월 1회 개최토록 하고 향후 포럼에서 ▲도농통합 시지역 중 음식물류폐기물 분리수거 제외 지역 지정 방안 ▲음식물류폐기물 수거·처리 수수료 개선 방안 ▲음식물류폐기물 처리시설 개선 및 침출수의 적정처리 방안 ▲재활용 제품(사료·퇴비)에 대한 안정적인 수요처 확보 방안 등을 토의하기로 결정했다.


환경부는 포럼을 금년 11월까지 운영할 예정이며 포럼에서 도출된 개선 사항은 향후 음식물류폐기물 정책에 반영할 예정이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05-06-13 14:23:09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동해 품은 독도’ 촬영하는 박용득 사진작가
  • <포토>‘어도를 걸을 때’
  • 설악산국립공원 고지대 상고대 관측
최신뉴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