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봉기 기자
미세먼지에 의한 호흡기질환을 막을 수 있는 치료약물 개발의 가능성 열렸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박춘식 교수팀이 ‘미세먼지에 의한 호흡기질환의 악화 및 발병 원인’을 찾아냈다고 22일 밝혔다.
미세먼지란 지름이 10㎛ 이하로 우리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가늘고 작은 먼지 입자를 말한다. 사람의 폐포까지 깊숙하게 침투해 각종 호흡기질환의 직접적인 원인은 물론 우리 몸의 면역 기능을 떨어뜨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보건산업진흥원은 지난 2001년부터 보건복지부 보건의료기술진흥사업으로 폐 및 호흡기 질환 유전체 연구센터인 박 교수팀에 R&D자금을 지원해 왔다.
그 결과 박 교수팀은 호흡기 외피세포에 미세먼지를 투여하고 이에 따른 단백체 변화를 관찰, 약 20종의 단백질들이 미세먼지와 관련 있음을 확인했다.
이중 다른 단백질과는 달리 MIF(macrophage migration inhibitory factor) 단백질은 미세먼지를 처리한 동물모델에서 확연한 발현 증가를 보였으며 이는 미세먼지의 종류를 달리 했을 경우에도 계속 유지됐다. 이를 통해 MIF가 기도 상피세포에서 미세 입자에 특이적으로 유도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박 교수는 “천식 등 일부 호흡기 증상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만 알려져 있던 MIF 단백질이 미세먼지에 의해 증가되는 현상은 본 연구팀에 의해 처음 밝혀진 사실”이라면서 “MIF에 대한 저해제를 개발할 경우 미세먼지에 의한 호흡기질환을 막을 수 있는 치료약물 개발의 가능성을 열어 놓은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본 연구 결과는 단백체 관련 최고 권위 저널인 Molecular Cellular Proteomics (IF: 9.876)에 채택돼 이달 출판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