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성 기자
올해부터 불법행위로 압수된 사행성게임기에 대한 자원재활용이 본격적으로 이뤄질 전망이다.
그동안 검찰과 경찰 등에서 압수한 사행성게임기들이 포화상태에 이르고 있지만, 보관장소는 크게 부족한 실정이다. 또 장기간 보관할 경우, 기계 노후화로 인한 재활용 가치 하락 등의 문제점이 발생해왔다.
최근에는 불법 사행성게임기에 대한 수사기관의 단속이 강화되면서 압수된 게임기를 보관하기 위한 별도의 예산을 마련하지 못한 수사기관들이 큰 애로를 겪어왔다.
18일 한국환경자원공사(사장 고재영)에 따르면 '압수물품 운송·보관 및 자원화사업'을 통해 수사기관에서 압수한 사행성게임기의 자원화를 본격 추진한다.
공사는 국가적 차원에서 투명하고 적법한 방법으로 운송·보관 및 자원화해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고 향후 새로운 수익을 창출한다는 계획이다.
공사는 이에 앞서 지난해 10월, 서울 동작경찰서와 협약을 체결해 시범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또 올해 1월중 서울, 경기, 부산지역의 압수물품 보관장소 확보가 시급한 경찰서를 대상으로 시범사업을 확대하는 한편 경찰청과의 본협약 체결도 조만간 이뤄질 전망이다.
공사는 지난해 3차례에 걸쳐 2767대의 압수된 사행성게임기를 경찰로부터 넘겨받아 안성에 소재한 경기지사에 보관하고 있다. 1대당 재활용 수익이 약 15만원 가량임을 감안하면 이들 게임기를 재활용할 경우, 4억1505만원의 수익을 얻을 수 있다는 계산이다.
공사 박창수 사업관리실장은 "압수된 사행성게임기의 재활용이 본격적으로 이뤄지면 사회적 이익을 창출하는 것은 물론 수사기관의 비축창고 활용도에도 기여할 것"이라며 "사행성게임기 재활용 사업은 수사기관의 보관창고 관리 예산을 절감하고, 자원을 재활용하는 '윈윈전략'이라고 설명했다.
환경자원공사는 올해 검경으로부터 14만여대의 압수된 사행성게임기를 인수해 이중 6만대 정도를 재활용한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