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성 기자
환경부가 수도권지역 시민들의 식수원으로 사용되는 팔당호 수질개선에 각별한 노력을 벌이면서도 정작 팔당호 주변 주민들이 마시는 지하수 오염은 방치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8일 환경부와 경기도 양평군 주민들에 따르면 환경부는 지난 2000년부터 오염원의 입지를 사전에 차단, 팔당상수원의 수질을 개선하기 위한다는 명목으로 한강수계 수변구역 토지를 매수하고 있다.
수변구역 토지매수는 답·임야는 물론 모텔과 음식점 등 건축물도 포함하는데, 환경부는 2006년 11월말까지 4대강 수계 수변구역을 대상으로 4750억원의 예산을 투입, 모두 2259만3천㎡(683만평)의 토지를 매수했다. 이중 한강수계에는 2760억원이라는 가장 많은 금액의 예산을 들여 1300필지, 544만㎡(164만7천평)의 토지를 사들였다.
하지만 환경부가 매수한 한강수계 수변구역 토지 상당수가 적절한 사후관리가 이뤄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로 지난해 3월, 환경부가 20억6천만원(토지2억2천만원, 건물 18억4천만원)을 들여 사들인 남한강변의 누스파 목욕탕(경기도 양평군 강하면 전수1리 24-2)은 건물만 철거되고 현재까지 지하수 관정의 폐공조치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 방치된 지하수 관정은 직경 250mm의 대형 관정 3개로 각각 120∼150m 깊이로 묻혀있다.
인근에 위치했던 데니스비치 모텔도 환경부가 지난해 9월, 18억8천만원(토지 8억8천만원, 건물 10억원)을 들여 매수한 뒤 같은 크기의 자하수 관정 1개를 폐공하지 않고 방치한 상태. 같은 마을에 위치했던 모텔 2곳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환경부가 2005년 3월과 2006년 6월에 사들인 뒤 지하수 관정들이 폐공 조치되지 않고 있다.
이처럼 환경부가 사들인 토지에 개발됐던 지하수의 폐공조치가 이뤄지지 않으면서 인근 주민들은 크게 불안해하고 있는 실정이다. 방치되는 관정으로 인해 식수로 사용하는 지하수의 오염이 불을 보듯 뻔하기 때문.
양평군 전수1리 김수기(46) 이장은 "지하수 오염을 우려해 매수토지 철거현장을 찾아가 지하수 폐공조치를 요구했지만, 철거업자는 '관정 폐공 예산이 책정되지 않았다'면서 '환경청에 요구해야 하는 사안'이라고 답했다"고 전했다. 그는 또 "지하수 오염에 대한 불안으로 마음놓고 물을 마시기 어렵다"고 토로했다.
이와 관련, 한강유역환경청 상수원관리과 관계자는 "수변구역 매수토지 일부에 지하수 폐공조치가 이뤄지지 않은 것은 사실"이라며 "앞으로는 토지 매수단계에서부터 매도자가 지하수 관정을 폐공조치하도록 한 뒤 잔금을 건네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전국의 많은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지하수 오염의 주범으로 인식되는 폐공을 찾아내 신고하면 포상금을 지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