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진용 기자
최근 주요국들의 무차별적인 에너지·자원 확보 노력 등이 고유가 등과 맞물려 세계적 자원확보 경쟁으로 격화되고 있는 가운데 '90년대말 경제위기 이후 일시 축소됐던 우리 기업의 해외자원개발사업 참여도 최근 들어 본격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7일 산업자원부에 따르면, 최근 들어 정부 지원 및 관련 업계의 참여가 확대됨에 따라 해외자원개발 분야에서의 투자 증대, 주요 자원의 자주개발 능력이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우리 기업의 유전개발 분야 투자액은 지난 '01년 3억7천만불에 불과했으나 지난해에는 6억7천만불로 확대됐고 올해는 8억불 이상 투자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원유 자주개발율도 지난 '01년 2%에 불과했으나 지난해 3.8%를 기록한데 이어 금년에는 5%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돼 '01년에 비해 원유 자주개발능력이 2.5배 증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금년 들어 주목할 만한 점은 ①국내외에서 경제성 있는 유전·가스전 발견성과 거양 ②기발견된 가스전의 수요처 확보로 개발 본격화의 계기 마련 ③유망 지역에서의 개발권 획득 ④기업들의 해외 자원개발 조직·인력도 확대 추세 ⑤전문 공기업-민간기업간의 콘소시움 구성 활성화로 민간의 대형 프로젝트 참여 저변도 확대 ⑥적극적 자원외교로 전략지역 자원개발 참여기반 마련 등으로 요약된다.
특히 금년 하반기에는 그간 물리탐사 등을 통해 석유·가스 발견이 유망한 광구의 탐사시추가 다수 예정돼 대형 유전·가스전의 발견 가능성도 높을 것으로 예측되고 있으며 현 사업추진 추세가 유지될 경우, 오는 '08년 원유 자주개발율 10% 달성은 충분히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도 최근 조성된 기업들의 해외 자원개발 참여 노력이 구체적 성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해외자원개발 가용 역량을 결집하고 관련 제도정비와재원 확충 방안 등을 지속적으로 추진중이다.
산업자원부 자원개발과 윤상흠 팀장은 "우선 석유공사 개발부문의 역량을 높여 자원개발 전문기업으로 육성하는 동시에 민간기업의 참여 확대를 위해 탐사 성공불융자 규모를 확대할 계획"이라며 "민간기업의 해외자원개발 신고시 불필요한 행정규제를 폐지하고 해외유전개발에 대한 정부 재원 확충을 적극 추진하는 등 행정·재정적 지원도 강화해 나갈 방침"이라고 말했다.
한편, 산자부는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해외자원개발 비전문 공기업 등의 무분별한 사업참여를 방지하기 위해 해외자원개발이 주업무가 아닌 산하기관, 공기업의 경우, 소관 중앙부처장 등의 추천을 의무화하도록 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