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성 기자
곽결호 환경부장관이 한강수계 오염총량관리제의 의무제 도입과 관련, “오총제를 시행 않으면 중앙정부는 행정목표를 이행치 못하게 되고 지자체가 추진주인 개발도 사실상 어렵다”면서 “양측 모두 실(失)을 가져옴에 따라 모두가 Win-Win하는 오총제는 반드시 시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곽 장관은 지난달 31일, 정부과천청사 국무위원식당에서 열린 환경전문기자들과의 정책간담회에서 이같이 말했다.
곽 장관은 또, 서울시 공무원들이 대량 파견, 운영중인 한강감시대의 조직 특성상, 효율적 업무수행이 어렵다는 지적에 대해 “환경경찰을 확대 운영하는 방안을 검토중에 있다”면서 “장기적으로 환경부 인원을 늘리고 파견기관 인력을 줄여나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새집증후군과 관련, 국내 실내공기질 권고기준이 낮지 않느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세계적으로 실내공기질에 대한 기준을 정하고 있는 나라는 극소수에 불과하다”면서 “환경분쟁이 발생하더라도 중앙환경분쟁조정위원회를 통한 제도적 장치가 충분히 마련된 상황인 만큼 기준 강화 등의 정책은 국내 건축자재 업계의 현실을 고려해 적용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곽 장관은 이밖에 정수기와 관련, “적절한 품질관리가 이뤄지지 않는 정수기 유통은 좋은 물을 마시려는 소비자들에게 오히려 해를 입힐 수 있다”고 우려하고 “정수기 물의 의학적·과학적인 규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날 장관 간담회에는 환경부 안문수 홍보관리관, 장세균 장관정책보좌관, 신총식 장관비서관과 상하수도국 관계자등이 배석한 가운데 에코저널을 비롯한 환경전문지 기자들이 참석했다.
한편, 한강수계 오염총량관리제 의무제 도입을 최종 결정하는 ‘팔당호수질정책협의회’는 오는 14일 한강유역환경청에서 열릴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