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봉기 기자
늦어도 오는 ‘08년부터는 새로운 방식에 의해 산출된 남방참다랑어 총 어획량(TAC)이 적용될 전망이다.
해양수산부는 지난 16일부터 23일까지 호주 캔버라에서 개최된 ‘남방참다랑어보존위원회(CCSBT) 워크샵’에서 과학적 방식에 의한 TAC 산출방식(Management Procedures)에 대해 많은 진전이 있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새로운 TAC를 적용하면 남방참다랑어보존위원회(CCSBT)는 국제포경위원회(IWC)에 이어 두 번째로 과학적 근거에 의한 TAC산출방식을 채택하게 되나 아직까지 IWC가 포경재개문제를 둘러싸고 이번 방식을 적용하고 있지 못해 CCSBT가 세계 최초로 이러한 방식을 적용하는 국제기구가 될 가능성이 크다.
해수부는 남방참다랑어보존위원회가 이같은 방식을 채택하게 된 배경에 대해 과거 호주와 일본이 남방참다랑어(SBT)의 적정 어획량을 놓고 논쟁을 벌이면서 보다 과학적 방식에 의한 TAC 산정방식을 채택, 회원국간의 마찰을 줄이려는 의도로 분석했다.
해수부 관계자는 “CCSBT가 지난 ‘02년부터 이같은 관리방식의 개발에 착수했으며 금년 10월 개최예정인 제12차 연례회의에서 최종적인 관리절차(Management Procedure)를 채택할 계획”이라며 “관리방식을 채택한 이후 늦어도 ’08년부터는 이러한 방식에 의한 TAC를 적용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향후 다른 국제수산기구에서도 유사한 제도를 채택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어 금번 CCSBT가 관리절차를 마무리하는 것은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방식에 의한 TAC를 산출할 경우, 현재로서는 남방참다랑어의 총어획량(TAC)을 감축해야할 가능성이 농후해 남방참다랑어(SBT)의 자원상태를 둘러싸고 그간 전개된 회원국간의 논쟁에서 호주가 승리함으로써 긴 논쟁의 종지부를 찍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