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성 기자
정부의 장애인고용촉진정책에도 불구, 정작 장애인들의 고용의 질은 더욱 악화됐던 것으로 밝혀졌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한나라당 한선교 의원이 장애인고용촉진공단이 제출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300인 이상 대기업에 고용된 장애인 중 단순노무자 비율이 해마다 1∼2%씩 증가해 작년은 총 장애인의 16%를 기록했다. 정부가 장애인 고용 숫자에만 신경 썼지, 이들의 근무직종에 대해서는 소홀했다는 지적이다.
노동부 자료에 따르면 300인 이상 기업의 장애인고용인원은 해마다 증가했다. 2003년 22,000여 명이던 장애인근로자들이 작년에는 32,000여 명으로 늘었다. 기업당 평균 장애인고용인원도 15명으로 상승했다. 하지만 고용장애인 중 단순노무자 비율 또한 높게 나타났다. 2003년 2,900명이던 단순노무자가 작년에는 5,200명으로 약 2배가량 증가했다.
한선교 의원은 "정부가 숫자에만 연연하지 말고, 고용의 질을 높여 장애인들이 노동의 보람을 느낄 수 있도록 힘써야 할 것"이라며 장애인고용정책의 개선을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