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개탄서 납·카드뮴 성분 검출
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13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의 수도권대기환경청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안홍준 의원(한나라당, 마산을)은 자원순환사회연대와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성형착화탄의 중금속 함유량을 조사한 결과, 번개탄 11개 제품 가운데 10개 제품에서 납(21∼830ppm)과 카드뮴(1∼13ppm) 성분이 검출됐다며 대책을 촉구했다.


안 의원에 따르면 연소실험 결과에서도 납(24∼123.4㎍/㎥)과 카드뮴(4.3~24.0㎍/㎥)이 검출됐으며, 이산화질소는 다중이용시설 실내공기질 기준에 비해 340∼3,600배, 총탄화수소는 34∼80배, 미세먼지는 99∼149배 가량 높게 나타났다.


단 의원은 이같은 문제가 수도권 대기질 문제와도 연관이 있다고 주장했다. 참숯을 포함한 일반 숯의 단순 연소시, 그리고 여기에 고기를 구울 때 발생하는 미세먼지(PM-10)와 미세분진(PM-2.5)에의 노출이 호흡기 및 심혈관계 질환의 발생뿐만 아니라 사망률의 증가와도 관련이 있다는 연구가 계속 나오고 있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PM-10과 PM-2.5는 인위적으로 배출된 분진의 대부분을 구성하며, 우리나라에는 PM-2.5에 대한 기준과 규제가 없다. 한국대기환경학회가 환경부로부터 수주해 수행중인 연구용역 '수용모델을 이용한 미세먼지의 오염원 확인 및 오염기여도 평가'의 중간 연구자료에서 보면 생물체 연소를 포함한 불법연소 행위 오염원이 네 번째 오염원으로 PM-2.5의 14.7%, PM-10의 7.2%를 차지하는 등 매우 높은 기여율을 보였다.


안 의원은 "국민들이 즐기는 삼겹살, 갈비 등이 생물체에 해당하므로, 만약, 대도시 어느 곳이든 눈에 보이는 고깃집에서 고기를 구울 때 PM-2.5나 PM-10가 다량 발생한다면 매우 심각한 일"이라면서 "숯불구이 등 음식 조리시에 발생하는 PM 등에 대한 집중적 연구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안 의원은 이어 "환경부의 대기정책은 분산모델에 그 토대를 두고 있지만, 수용모델도 이의 보완책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면서 "한두가지 연구 용역 차원이 아니라 대기환경과학 연구를 적극 지원해 풍부하고 다양한 연구 성과를 얻어 지속적으로 정책에 반영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06-10-23 13:41:24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오대산 ‘복수초’ 개화…봄 ‘성큼’
  • ‘동해 품은 독도’ 촬영하는 박용득 사진작가
  • <포토>‘어도를 걸을 때’
최신뉴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