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매수토지 ‘공중화장실‘로 전락
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환경부가 오염원의 입지를 사전에 차단, 수질을 개선한다는 명목으로 사들인 팔당호 주변 일부 매수토지에 폐유가 투기되는 등 오히려 오염을 야기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20일 한강유역환경에 따르면 한강청은 2004년 6월, 한강수계관리기금을 재원으로 양평휴게소(경기도 양평군 양평읍 오빈리 150-2번지 사진) 부지 1788평(5910㎡)을 사들였다.


한강청은 올해 4월경, 7500만원을 투입, 매수한 휴게소 부지에 자연형 배수로를 설치하는 한편 갈참나무·굴참나무 등 참나류를 위주로 모두 15개 수종 217주의 나무를 식재했다.


하지만 한강청이 사들인 양평휴게소 부지는 6번 국도변에 위치해 주말이면 행락객들의 차량 행렬이 북새통을 이루는 길목. 따라서 장기간 차량 지·정체가 지속되는 경우가 많은데, 제대로 관리되지 않고 방치되다시피 한 매수토지에서 용변을 해결하는 사례가 끊이지 않고 있다.


인근에 거주하는 한 주민은 "환경부가 멀쩡한 휴게소 건물을 허물고 달랑 나무만 심어 놓은 뒤 제대로 관리하지 않아 이런 일이 생기는 것"이라며 "양평지역에만 해도 환경부가 사들인 뒤 방치하다시피 한 땅이 많은데, 적절한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앞서 이달 18일에 열렸던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의 한강청에 대한 국정감사에서는 환경부의 수변구역 토지매수사업이 큰 실효를 보지 못하는 것 아니냐는 의원들이 지적이 이어진 바 있다.


환노위 여당 간사인 우원식 의원(서울 노원구을)은 "현재의 토지매수 비용을 줄이고 장기적으로 지역주민의 주민지원사업으로 지원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환경부가 지난 2000년부터 추진한 수변구역 토지 매수사업은 2005년 12월말 기준, 519만평이 매수됐다. 한강수계 토지매수 실적은 976필지 142만평(469만6천㎡)으로 가장 많다.


한편, 환경부의 수변구역 토지매수사업은 수변구역내 오염유발시설과 개발 예정 토지 등을 매입해 녹지로 조성하거나 생태계 복원을 통해 수질오염을 사전에 차단하자는 취지로 시행되고 있다. 물이용부담금으로 조성된 수계관리기금을 재원으로 한다.


▼환경부가 수변구역 토지매수사업으로 사들인 매수토지에 폐유가 투기된 것으로 보이는 흔적(사진 위 우측)과 행락객들의 용변 흔적(사진 아래)이 눈살을 찌푸리게 한다. 오염물질을 사전에 차단하자는 사업이 오히려 오염을 부추기고 있다는 지적이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06-10-20 14:18:24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오대산 ‘복수초’ 개화…봄 ‘성큼’
  • ‘동해 품은 독도’ 촬영하는 박용득 사진작가
  • <포토>‘어도를 걸을 때’
최신뉴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