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차·마을버스 100% 저공해화 추진
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생활권역내 대기질 개선을 실질적인 방안이 마련된다.


서울시는 청소차·마을버스에 대해 친환경 CNG차 보급 및 매연저감장치 부착을 대대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12일 밝혔다.


시에 따르면 서울의 대기오염원 중 약 76%정도가 자동차의 수송부분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미세먼지의 대부분은 84만대의 경유 자동차 운행으로부터 배출되고 있다.


이 중 동네 골목길 등을 운행하는 청소차·마을버스는 약 3,730여대로 차량의 노후화 등으로 매연배출에 대한 시민의 체감오염도가 높은 실정이다.


특히 청소차·마을버스는 차량의 노후도가 심하고 운행거리가 길어 다른 차종에 비해 대기오염 부하율이 높아 저공해화가 시급하다.


이에 시는 우선 청소차·마을버스의 저공해화를 위해 CNG차량 91대보급, 저감장치 903대 부착 등 약 27% 완료했으며 앞으로 나머지 2,730여대에 대한 저공해화를 적극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시는 우선 지난 1997년 이전 등록된 614대 노후차량에 대한 보조금 현실화를 통해 자치구 직영은 내년까지, 민간대행은 내후년까지 조기폐차를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CNG차 보급 촉진을 위해 시내·마을버스 및 관용청소차에만 지원해오던 보조금 지원제도를 민간대행 청소차까지 확대 지원할 계획이다.


청소차는 5톤급 3천만원, 11톤급 6천만원, 마을버스는 2,250만원을 지원 받게 된다. 아울러 청소차량은 차량초기구입비 융자지원방안도 검토 중에 있다.


이와 함께 매연저감장치 부착이 가능한 차량에 대해서는 저속차량에도 적용가능한 DPF 등을 적극 보급 추진할 방침이다. 또 소형 청소차 및 배기량 6000cc이하 마을버스에는 이달중 개발예정인 제2종 매연저감장치 또는 CNG·LPG개조 등을 적극 검토 적용할 계획이다. 저감장치 부착에 소요되는 비용은 국·시비를 통해 95%를 지원된다.


이밖에 저공해 미참여차량에 대해서는 저공해화의 적극적 동참을 유도코자 오는 2008년까지 년식별 저공해조치를 의무화하고 2009년부터는 운행제한하는 방안도 검토중에 있다.


특히 청소차에 대해서는 인천시 등 관계기관과 협의해 수도권매립지 진입을 제한하고 서울시내 4개 자원회수시설에 대해서도 자치구와 협의 출입을 제한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향후 모든 자동차를 대상으로 저공해 자동차에 대한 환경개선부담금 및 정밀검사의 3년간 면제와 혼잡통행료 감면 등 각종 인센티브를 확대하는 등 자동차 저공해화 사업을 적극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06-10-12 12:07:56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오대산 ‘복수초’ 개화…봄 ‘성큼’
  • ‘동해 품은 독도’ 촬영하는 박용득 사진작가
  • <포토>‘어도를 걸을 때’
최신뉴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