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열대성 ‘푸른우산관해파리’, 제주 이어 동해까지 확산
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에코저널=제주·부산】아열대성 소형 해파리인 ‘푸른우산관해파리’(직경 2~3cm)가 지난 7월 17일 제주 해역에서 처음 관측된 이후, 전남·경남·부산·경북 등 남해안과 동해안 일대에서 대량으로 출현하고 있다. 이번 주말경에는 강원 연안까지 확산할 것으로 예상된다.

 

‘푸른우산관해파리’.

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에 따르면 ‘푸른우산관해파리’는 독성이 약하고, 어업피해도 크지는 않지만, 사람이 접촉하면 알레르기 반응이나 접촉성 피부염을 유발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푸른우산관해파리는 2021년 10월 제주 주변 해역에서 대량으로 출현한 사례가 있었으나, 올해처럼 남해안과 동해안에도 대량유입된 것은 처음이다. 

 

국립수산과학원은 이 해파리의 확산 원인으로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수온 상승과 대마난류의 강한 세력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푸른우산관해파리는 전 세계 아열대 해역에 널리 분포하며, 해류와 바람의 영향을 받아 이동한다. 주로 수면 가까이에서 서식하며, 주변에 있는 촉수를 이용해 작은 동물플랑크톤을 포식한다.

 

최용석 국립수산과학원장은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아열대성 해파리의 대량 출현이 점차 빈번해지고 있다”며 “여름철 해수욕객과 어업인의 쏘임사고 우려가 커지고 있는 만큼, 지자체와 관계 기관은 해파리가 대량 유입된 해역에서의 신속한 제거 작업에 적극적으로 협조해 주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25-08-05 10:36:23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오대산 ‘복수초’ 개화…봄 ‘성큼’
  • ‘동해 품은 독도’ 촬영하는 박용득 사진작가
  • <포토>‘어도를 걸을 때’
최신뉴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