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성 기자
【에코저널=하남】하남공정무역협의회가 공정무역도시 성과를 멈춰 세운 하남시의 행정 후퇴를 깊이 우려한다는 내용의 성명을 발표했다.
하남공정무역협의회는 27일 성명서를 통해 “하남시의 공정무역 제품 활성화 지원 사업은 물론 공정무역 관련 예산 배정이 전무하며, 시민 대상 교육·캠페인과 공정무역 활동은 사실상 중단됐다”며 “이는 단순한 행정 축소가 아니라, 그동안 시민과 행정이 함께 만들어온 공정무역도시의 가치와 성과가 더 이상 이어지지 못하도록 멈춰 세운 것과 다름없다”고 주장했다.
성명서는 “공정무역은 단순히 ‘착한 소비’를 넘어, 기후위기 대응·인권 보호·공정한 경제·지속가능발전목표(SDGs)를 실천하는 책임 있는 선택”이라며 “지방정부가 이러한 활동을 뒷받침하지 않는다면 시민 참여 기반은 약화되고, 도시 지속가능성이 후퇴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하남공정무역협의회에 따르면 하남시는 2019년 전국 6번째 공정무역도시 인증을 받고, 이후 재인증까지 성공하며 윤리적 소비와 지속가능발전을 선도해 왔었다. 이는 지역 시민단체, 교육기관, 상공인, 행정이 함께 쌓아 올린 하남시의 소중한 자산이었고, 윤리적 소비와 지속가능한 발전을 실천하는 모범 도시로 평가됐다는 것. 그러나 최근 하남시가 공정무역도시 재인증 절차를 더 이상 진행하지 않아 결국 공식적인 공정무역도시 지위를 상실했다는 설명이다.
그동안 하남시가 공정무역주간(포트나잇)에 개최해 온 시민 참여 캠페인과 경기도 공정무역 포트나잇 행사에 대한 문제점도 지적했다.
하남공정무역협의회는 “하남시는 2022년 이후부터 어떤 지역 행사나 지원도 배제한 채 하남시 조례에 근거한 회의조차 개최하지 않고 있다”며 “더구나 2025년 경기도와 시·군의 매칭 사업으로 진행한 ‘우리동네 포트나잇’ 지원 사업에도 하남시가 참여하지 않아 하남 지역 판매처는 지원을 받을 수 없게 됐다”고 밝혔다.
하남공정무역협의회 김부성 상임대표는 “하남시가 윤리적 소비와 기후·환경 정의를 선도하는 도시로 기여하기 위해서는 즉시 공정무역도시 인증 계획을 검토하고, 관련 예산과 행정 지원을 복원해야 한다”며 “▲경기도 공정무역 포트나잇·활성화 사업에 참여할 수 있는 구체적 방안 마련 ▲시민사회·교육기관·상공인과의 협력을 통해 공정무역 교육·캠페인 재개 등을 요구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