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지역 해양환경 인식증진 민·관·공 ESG 논의
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에코저널=제주】해양수산부와 해양환경공단은 7월 22일 제주도 소재 공공기관, 민간기업 등 12개 기관과 함께 제주도민과 관광객의 해양환경 보호 인식을 높이기 위해 ‘제주 특화형 해양환경교육’을 논의한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는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 제주개발공사, 제주관광공사, 공무원연금공단, 한국공항공사, 한국수산자원공단/(민간) 롯데관광개발, 호텔신라, 제주은행, KT, KTCS, 제주관광협회 등이 참여한다.

 

해양보호생물로 지정된 ‘점박이물범’.

연간 1300만명이 찾는 제주도는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이자 6곳의 해양보호구역을 보유하고 있는 청정 해양관광지로, 해양환경 보전은 지역경제와 직결되는 중요한 과제다. 최근 제주도는 해수면 상승·태풍 피해 등 기후 위기의 최전선에 놓여 있어, 그 어느 지역보다 해양환경에 대한 이해와 해양환경 보호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해양수산부는 그간 블루카본·해양보호생물 등 분야에서 민간기업과 협력하여 다양한 성과를 창출해 왔다. 올해는 공공기관까지 참석 대상을 넓혀 ▲제주형 해양환경이동교실, ▲폐교 부지 등 유휴공간을 활용한 교육체험시설 운영 등 제주 특화형 해양환경교육 협력 방안을 모색할 계획이다.

 

김성범 해양수산부 차관은 “이번 논의는 민간과 공공이 함께 해양환경 가치를 확산하고, 지속 가능한 해양 보전을 위한 ESG 실천 기반을 넓히는 소중한 계기가 될 것”이라며, “지역 특성을 반영한 민·관·공 협력 모델이 제주에서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어 전국으로 확산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25-07-21 15:43:52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오대산 ‘복수초’ 개화…봄 ‘성큼’
  • ‘동해 품은 독도’ 촬영하는 박용득 사진작가
  • <포토>‘어도를 걸을 때’
최신뉴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