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달청, 공공건축물 친환경분야 설계 검토 강화
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에코저널=서울】조달청은 16일 서울지방조달청에서 수요기관과 설계관련 업체를 대상으로 ‘공공건축물의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설계적정성검토 설명회’를 개최했다. 

 

‘설계적정성검토’는 총사업비 200억원 이상 또는 30억원 이상 국고보조사업인 공공시설사업에 대해 설계내용을 보완·개선해 예산·시설규모의 적정성을 검토한다.

 

오늘 설명회는 수요기관의 이해도 향상을 통해 공공건축물의 설계 초기부터 친환경 요소를 효과적으로 반영할 수 있도록 설계검토 체계를 강화하고, 탄소중립과 제로에너지건축물 실현기반을 다지는 목적으로 마련됐다.

 

조달청은 지난 2021년부터 친환경 설계검토를 시작해 올해부터 공공건축물 신축 시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을 받아야 하는 최저 의무 등급이 상향(5등급→4등급)됨에 따라 설계검토를 더욱 강화할 예정이다.

 

설명회에서는 설계적정성 검토 과정에서 ▲친환경분야 중점 검토의 필요성 및 기대효과 ▲친환경 항목 중심의 검토요청서 작성요령 ▲설계도서 제출 등을 안내했다.

 

지난 3월 실시한 국토교통부와의 업무협약(MOU)을 통해 실시 예정인 ▲제로에너지인증건축물 에너지 최적화 컨설팅 지원제도 소개 ▲우수사례 안내 및 컨설팅 지원사업 수요조사 등은 한국에너지공단이 소개했다.

 

국토교통부 녹색건축과도 설명회에 참석해 앞으로의 녹색건축 관련 정책 및 설계기준 방향과 설계기준 강화에 따른 실무 대응방안 등을 공유했다.

 

권조달청 혁재 시설사업국장은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40%를 건축물이 차지하는 만큼 공공건축물의 탄소중립 실현은 선택이 아닌 필수과제”라며 “앞으로도 조달청은 공공건축물의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실제 설계에 적용 가능한 사례를 중심으로 업무에 활용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꾸준히 제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25-07-16 14:36:02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오대산 ‘복수초’ 개화…봄 ‘성큼’
  • ‘동해 품은 독도’ 촬영하는 박용득 사진작가
  • <포토>‘어도를 걸을 때’
최신뉴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