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봉기 기자
최근 5년간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수가 크게 감소하는 등 국민들의 주거여건이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연구원에서 실시한 2005년 주택수요조사(1만가구 표본조사)를 통해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를 분석한 결과, 최저주거기준에 미달하는 가구수는 지난 2000년 334만(전체가구의 23%)가구에서 작년 255만(전체가구의 16%)가구로 약 79만 가구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적으로는 수도권이 2000년 113만가구에서 2005년 79만가구, 지방은 같은기간 222만가구에서 177만가구로 감소했다.
지난해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를 지역별·소득별로 분석해 보면, 지역별로는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의 31%가 수도권(79만)에, 69%가 지방(176.7만)에 분포하고 있다. 소득분위별로는 1분위가 40% 이상(104만 가구)을 차지하고 있으며, 7분위 이상 미달가구는 상대적으로 적은 수준이다.
이러한 주거의 질적 향상은 2005년 인구주택총조사의 결과에서도 뚜렷하게 나타난다. '가구의 사용방수' 를 보면, 가구의 평균 사용방수는 2005년 3.6개로 2000년(3.4개)에 비해 0.2개 증가했다.
4개의 방(거실, 서재, 주방 등 포함)을 사용하는 가구가 43.4%로 가장 많고, 3개 사용가구(25.6%), 5개 사용가구(12.1%)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2000년에 비해 4개 이상의 방을 사용하는 가구의 비중은 증가하고, 3개 이하는 감소한 것으로 주거수준의 상향이동을 잘 보여주고 있다.
주거의 밀도를 나타내는 '1인당 주거면적'도 2000년 20.2㎡(6.1평)에서 2005년 22.8㎡(6.9평)로 증대했다. 지역별로는 서울(6.6평), 인천(6.4평), 경기도(6.8평), 부산(6.8평) 지역은 전국평균을 밑돌아 주거면적을 적게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지방 면 단위의 경우 8.7평으로 서울에 비해 약 1.3배 큰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