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권역 친환경 새우양식 현장 간담회 열려
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에코저널=인천】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은 지난 12일 인천광역시 강화군에 있는 친환경 새우양식장을 방문, 어업인, 인천수산자원연구소 관계자들과 현장 간담회를 가졌다.

 

이번 간담회에서는 ▲국내산 새우 종자의 경쟁력 강화 방안(크기, 활력, 질병내성 등) ▲다양한 새우 종자의 입식 기회 제공 ▲현장 맞춤형 연구추진 등 어업인들의 다양한 목소리를 청취하였다.

 

인천시 강화군의 새우양식 어가는 36개 어가(전국 696개 어가)이며, 이중 6개 어가가 친환경 양식 방법으로 새우를 양식하고 있다.

 


국내 흰다리 새우양식은 2022년 9504톤을 생산한 이후 2023년에는 세균성질병(APHND, 급성간췌장괴사증) 발생으로 약 26%가 감소한 7047톤을 생산햇다. 2024년에도 생산량을 회복하지 못하고 7766톤을 생산하는데 그쳤다.

 

국립수산과학원에서는 2003년부터 친환경 양식 기술을 개발해 2011년부터 지자체와 민간 양식장에 창업기술 교육 등을 통해 보급했다. 작년부터 세균성 질병에 강한 새우를 개발하고 있으며, 사료비 절감과 양식 생산성 향상을 위한 맞춤형 배합사료 개발을 추진중에 있다.

 

최용석 국립수산과학원장은 “우리나라 새우양식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내병성 품종 개발 및 사료 개발 등 현장 연구를 강화하고, 지속적으로 현장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25-06-13 11:30:01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오대산 ‘복수초’ 개화…봄 ‘성큼’
  • ‘동해 품은 독도’ 촬영하는 박용득 사진작가
  • <포토>‘어도를 걸을 때’
최신뉴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