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공원·국립공원야생생물보전원, ‘산양’ 교류
기사 메일전송
서울대공원·국립공원야생생물보전원, ‘산양’ 교류 천연기념물 유전자 다양성 확보…멸종위기종 보전 노력  
  • 기사등록 2025-06-11 09:45:54
기사수정

【에코저널=서울】서울대공원은 지난 10일 2023년과 2024년 번식된 산양 5마리 중 3마리를 국립공원야생생물보전원으로 반출하고, 수컷 1마리를 반입했다고 밝혔다. 

 

서울대공원은 유전자 다양성 강화와 국내 산양 보전사업을 위해 개체 확보에 기여하는 등 종보전 역할에 주력해 왔다. 서식지 외 보전기관으로서 멸종위기 야생동물의 보전을 위해 노력해오고 있다.

 

2022년 11월 말 서울대공원은 국립공원야생생물보전원과 ‘멸종위기 야생동물 공동 연구·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그해 12월 초 산양 수컷 1마리를 서울대공원으로 반입한 바 있다. 당시 서울대공원에는 산양 암컷 3마리만 보유하고 있어 종보전을 위해 수컷 도입이 절실한 상황이었다.

 

산양 번식에 적절한 사육환경을 조성해 준 결과 2023년 2마리를, 2024년에는 3마리를 번식하는 등 총 5마리의 산양 번식에 성공했다. 그 결과 현재 서울동물원은 9마리의 산양을 보유하고 있다.

 

‘산양(Long-tailed goral, Naemorhedus caudatus)’은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이자 천연기념물로 보호받는 멸종위기종이다. 국제적으로도 IUCN 적색목록에서 ‘취약(VU, Vulnerable)’ 등급, ‘CITES 부속서Ⅰ’에 등재돼 국제적으로도 거래가 엄격히 금지된 종이다. 국내에서는 주로 월악산 등 강원 동북부와 백두대간 중심으로 서식하고 있다. 환경부와 국가유산청이 협력해 산양 보전사업을 추진 중에 있다. 

 

서울대공원에 반입한 산양.

이번에 반입된 수컷은 국립공원야생생물보전원에서 번식된 개체로서 이 개체를 통해 현재 동물원 내 산양의 유전적 병목현상을 어느 정도 완화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반출된 산양 암컷 새끼 3마리는 국립공원야생생물보전원 북부보전센터로 이관돼 야생방사 전 단계에 필요한 다양한 야생방사 훈련 등을 진행할 예정이다. 동물원은 산양 번식과 사육기술 개발, 혈통관리를 통한 서식지외보전 역할을, 국립공원야생생물보전원은 방사 훈련과 야생 방사, 방사 후 모니터링을 통한 서식지내 보전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다.

 

서울대공원 반출 산양.

박진순 서울대공원장은 “산양 등 토종 멸종위기종 보전은 서울동물원이 나아갈 방향이며, 핵심 전략”이라며 “앞으로 산양 보전사업 뿐만 아니라 저어새, 금개구리, 낭비둘기 등 여러 종에 대한 보전사업을 지속 추진해 서식지외 보전기관으로서 역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25-06-11 09:45:54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오대산 ‘복수초’ 개화…봄 ‘성큼’
  • ‘동해 품은 독도’ 촬영하는 박용득 사진작가
  • <포토>‘어도를 걸을 때’
최신뉴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