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효준 기자
【에코저널=포천】산림청 국립수목원은 정원문화 확산을 위한 ‘2025년 보급형 모델정원 개발’ 사업의 방향을 ‘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한 정원개발·조성’에 역점을 두고 여러 유형별 모델정원을 조성한다.
생활형 모델정원 조감도.(2023년)
‘모델정원 개발’ 사업은 수목원·정원의 조성 및 진흥에 관한 법률과 제2차 정원진흥 기본계획(2021년~2025년)에 따라 산림청에서 3년째 추진해오고 있다.
커뮤니티 모델정원 조감도.(2024년)
모델정원은 일상생활속에서 정원을 쉽게 접목할 수 있도록 만든 정원으로 지금까지 생활형, K-garden, 新스마트, 치유, 베란다, 커뮤니티 정원을 개발, 보급했다. 올해는 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한 서식처 정원, 폴리네이터 정원, 저관리형 정원을 개발하여 보급할 계획이다.
서식처 정원 조감도.(2025년)
서식처 정원은 빛 환경에 따라 식물·곤충·미생물 등 여러 생물들이 흙과 돌, 썩은 나무 사이에서 공존하는 생태계가 살아있는 정원이며, 폴리네이터 정원은 꽃가루 매개자(벌, 나비 등 곤충류)를 위해 많은 야생화가 피어있는 정원이다.
또한, 저관리형 정원은 기후변화에 따라 건조에 강한 식물을 위한 정원으로 빗물을 재활용 등 정원관리가 최소화할 수 있도록 개발한 정원이다.
산림청 정연국 수목원정원정책과장은 “모델정원처럼 국민의 삶에 피부로 와닿는 정원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이 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임영석 국립수목원장은 “정원이 단순히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기후변화 대응·사회문제 해결과 연결해 복합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다양한 정원모델을 개발하고 조성하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