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파리 대량발생 위기경보 ‘주의’ 단계 발령
기사 메일전송
해파리 대량발생 위기경보 ‘주의’ 단계 발령 ‘전남 남해 앞바다’ 해파리 예비주의보 특보 추가   
  • 기사등록 2025-06-09 17:00:01
기사수정

【에코저널=세종·부산】해양수산부는 국립수산과학원의 해파리 예비주의보 특보 추가 발표에 따라 9일, 해파리 대량발생 위기경보를 ‘관심’에서 ‘주의’ 단계로 격상해 발령했다고 밝혔다.

 

국립수산과학원과 지자체에서 올해 3월부터 우리나라 연안 해역에서 해파리를 예찰한 결과, 보름달물해파리는 전남 득량만과 가막만 일대에서 ha당 최대 4만 개체까지 출현했는데, 10cm 미만 작은 개체들이다.

 

국립수산과학원은 지난 4일 ‘부산·경남 남해 앞바다’ 해파리 예비주의보 특보에 이어, 9일 ‘전남 남해 앞바다’에 해파리 예비주의보 특보를 발표했다. 이에 따라, 해양수산부는 해파리 대량발생 위기경보 단계별 발령 기준에 따라 ‘관심’에서 ‘주의’ 단계로 격상, 발령했다.

 

보름달물해파리. ‘보름달물해파리’는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해파리다. 독성은 약하지만 대량으로 발생 시 그물이 찢어지거나, 어획량이 감소하고 품질이 저하되는 등 어업활동에 지장을 줄 수 있다. 올해는 2~3월 저수온으로(-1.6~2.2℃) 인해 해파리 발생 시기가 작년 대비 2주 이상 늦어지고 있으나, 향후 수온이 상승하고 먹이량이 풍부해지면 대규모 성체 출현과 해류 흐름에 따른 주변 해역으로의 확산이 전망된다.

 

해파리 대량발생 위기경보 ‘주의’ 단계가 발령되면, 정부와 지자체는 해파리 특보가 발표된 해역의 예찰을 강화하고, 해파리 초동제거와 어업인 예방 교육·홍보를 실시한다. 해양수산부는 해파리 상황실 운영, 지자체는 종합상황실을 운영해 주기적으로 상황을 모니터링 하는 등 피해 최소화에 만전을 기할 계획이다.

 

강도형 해양수산부장관은 “해파리 대량발생 위기경보 ‘주의’ 단계가 발령된 만큼, 지자체 등 관계기관은 어업인과 해수욕객들의 피해 최소화를 위해 예찰 강화, 해파리 제거 등 신속히 대응해 주시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25-06-09 17:00:01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오대산 ‘복수초’ 개화…봄 ‘성큼’
  • ‘동해 품은 독도’ 촬영하는 박용득 사진작가
  • <포토>‘어도를 걸을 때’
최신뉴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