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공공부문 전기·수소차 구매·임차 실적 공개
기사 메일전송
작년 공공부문 전기·수소차 구매·임차 실적 공개
  • 기사등록 2025-05-29 15:20:01
  • 기사수정 2025-05-29 23:21:49
기사수정


【에코저널=세종】환경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 공공부문의 전기·수소차(승용, 승합, 화물) 전환에 대한 2024년 구매·임차 실적과 2025년 구매·임차 예상 실적을 공개했다.

 

환경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 ‘대기환경보전법’ 제58조의5 및 ‘환경친화적 자동차의 개발 및 보급 촉진에 관한 법률’ 제10조의2에 따라 국가기관, 지자체, 공공기관 등이 매년 신규로 구매하거나 임차하는 차량의 100% 이상(차종별 환산 비율 적용)을 전기·수소차로 구매 또는 임차하도록 의무화하고 있다.

 

환경부가 지난해(2024년) 신규 구매·임차 실적이 있는 626곳의 기관을 확인한 결과, 전년 대비 약 2.7%p 증가한 597곳(95.4%)이 의무 비율을 달성했다. 해당 기관에서는 총 8,059대의 신규 차량을 구매·임차했고, 이중 전기·수소차는 전년 대비 약 4.1%p 증가한 7181대(89.1%)로 확인됐다.

 

한편, 환경부는 지난해 11월 6일 ‘저공해자동차 의무구매·임차 실적 산정방법에 관한 고시’를 개정하여 2025년부터 신규 구매·임차 대상에 이륜차를 포함했고, 전기·수소차의 환산 비율을 강화했다.

 

환경부가 올해(2025년) 의무구매·임차 계획을 조사(2025년 4월 기준)한 결과, 783곳 중 681곳(87%)이 의무 비율을 달성하고, 나머지 102곳(13%)은 미달성할 것으로 예측됐다. 이에 환경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 미달성 기관에 대해 의무 비율을 달성할 수 있도록 주기적으로 실적을 점검하고 독려할 계획이다.

 

환경부 오일영 대기환경정책관은 “공공부문이 솔선수범해 전기·수소차 전환을 이끌어야 민간도 속도를 낼 수 있다”며 “공공부문이 전환의 흐름에 적극 동참할 수 있도록 제도를 더욱 책임있게 운영하겠다”고 밝혔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25-05-29 15:20:01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오대산 ‘복수초’ 개화…봄 ‘성큼’
  • ‘동해 품은 독도’ 촬영하는 박용득 사진작가
  • <포토>‘어도를 걸을 때’
최신뉴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