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서식 물벼룩 국제표준 시험종 지정 추진
기사 메일전송
국내 서식 물벼룩 국제표준 시험종 지정 추진 OECD WNT, 국립환경과학원 사업제안서 승인  
  • 기사등록 2025-04-10 08:44:53
기사수정

【에코저널=인천】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은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생물종인 물벼룩(학명 Monia macrocopa, Ceriodaphnia dubia)이 국제표준화를 위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시험지침 작업반에서 공식 시험종으로 지정된다고 밝혔다.

 

물벼룩 시험종 Moina macrocopa.

국립환경과학원은 프랑스 불로뉴에서 4월 1일부터 4일까지 열린 제37차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시험지침조정자 작업반회의(WNT; Working Group of National Coordinators of the Test Guidelines Programme)에서 해당 물벼룩을 화학물질 시험지침(Test guideline)의 공식 시험종으로 포함하는 사업제안서를 승인받았다. WNT는 경제협력개발기구 회원국의 국가시험지침조정자(national coordinator for test guidelines)가 독성, 물리화학적 성질 등 관련 시험지침의 제·개정·폐지, 시험법 개발·검증 사업의 계획서·보고서·추진 현황 등을 검토·논의·조정·승인한다.

 

물벼룩 시험종 Ceriodaphnia dubia.

국내 환경보호를 위해서는 국내에 서식하는 생물을 이용한 독성평가가 필요하나, 현재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시험지침의 시험종 물벼룩(학명 Daphnia magna)은 북미, 서유럽 등의 지역에서 서식하는 종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서식하지 않는다.

 

이번 국제표준 시험종 지정을 통해 만성독성 시험기간을 기존 대비 ⅓수준(21일→7일)으로 단축할 수 있어 규제를 이행하는 산업체가 시험에 소요되는 자원, 인력, 비용 등을 절약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 사업은 현재 우리나라와 일본(국립환경연구소)이 공동으로 추진하고 있다. 향후 시험법 검증과 전문가 검토를 거쳐 2028년에 최종 시험지침으로 개정될 예정이다. 

 

국립환경과학원 김수진 환경건강연구부장은 “이 사업은 그간 ‘한·일·중 화학물질 정책대화 및 전문가회의’를 통해 추진해 오던 사항”이라며 “지속적으로 국제 기준에 부합한 표준독성시험법 및 시험종을 발굴해 우리나라 환경에 적합한 생태독성 평가를 수행하겠다”고 밝혔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25-04-10 08:44:53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오대산 ‘복수초’ 개화…봄 ‘성큼’
  • ‘동해 품은 독도’ 촬영하는 박용득 사진작가
  • <포토>‘어도를 걸을 때’
최신뉴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