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완섭 환경부장관, 설악산 산불취약지구 현장점검
기사 메일전송
김완섭 환경부장관, 설악산 산불취약지구 현장점검 설악산 침엽수 군락지 산불진화 훈련 참관  
  • 기사등록 2025-04-09 14:32:41
  • 기사수정 2025-04-09 16:39:53
기사수정

【에코저널=속초】김완섭 환경부장관은 9일 오후 설악산국립공원(강원특별자치도 속초시 소재) 내에 있는 산불취약지구 현장을 점검했다.

 

받았김완섭 환경부장관(맨 우측)이 9일 설악산국립공원사무소의 산불 감시 폐쇄회로텔레비전(CCTV) 등 상황관제시스템 운영상태를 확인하고 있다.

앞서 김완섭 장관은 지난 3월 28일 경북 청송군 주왕산국립공원을 찾아 경북 산불 진화 상황을 점검한 바 있다. 4월 7일 이병화 차관은 경북 안동시 산불 피해마을을 방문해 사업장 피해 현황과 폐기물 발생 상황을 점검한 바 있다. 

 

이병화 차관이 4월 7일 경북 안동시 일대 산불 피해현황을 점검하고 있다.

산불 발생 위험이 큰 강원지역 등에서 산불 대비를 철저히 하라는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의 방침이 있었다. 설악산은 강원지역에서 잔불 정리가 어려운 경사지 숫자(54곳)가 가장 많고, 화재에 취약한 침엽수 군락지 면적이 넓어 산불 예방의 중요성이 높은 국립공원이다.

 

오늘 김완섭 장관은 설악산국립공원사무소에서 산불 감시 폐쇄회로텔레비전(CCTV) 등 상황관제시스템 운영상태를 확인하는 한편, 산불 신고·전파 지침서(메뉴얼) 및 탐방객 대피계획을 비롯해 초동 진화계획 등을 점검했다. 재난 담당 직원들과 간담회를 갖고, 애로사항도 청취했다.

 

고성능 산불진화차량.

김 장관은 이어 설악동 야영장 인근 침엽수 군락지로 이동해 일반 산불진화차량의 방수량 10배인 고성능 산불진화차량의 진화 훈련을 참관하고, 경사지 등 진화가 어려운 위치에 산불이 발생한 경우 조치계획에 대해 보고받았다.

 

김완섭 환경부장관(맨 앞)이 9일  산불진화차량의 진화훈련을 참과나고 있다.

환경부와 국립공원공단은 주요 지점에 폐쇄회로텔레비전을 설치해 산불을 24시간 감시하고 있다. 산불 발생 시 사무소별 자체 초동진화팀을 즉시 투입하는 한편 소방청·산림청 등 관계기관에 신속히 신고해 산불 확산을 방지하고 있다.

 

이번 경남·경북·울산 산불을 계기로 인공지능(AI) 기술이 적용된 폐쇄회로텔레비전(CCTV)을 전체 국립공원으로 확대해 감시체계를 고도화하고, 고성능 진화차량, 산불감시원 등 장비와 인력을 확충할 계획이다.

 

김완섭 환경부장관은 “산불이 점차 대형화되는 추세인 만큼 국립공원에서 발생하는 산불의 초동 대응에 대한 역량 강화가 시급하다”면서 “환경부 차원의 국립공원 산불 대응책을 수립하는 한편, 정부 차원의 산불 대응방안 마련을 위해 행정안전부, 산림청 등 관계기관과도 적극 협업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25-04-09 14:32:41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오대산 ‘복수초’ 개화…봄 ‘성큼’
  • ‘동해 품은 독도’ 촬영하는 박용득 사진작가
  • <포토>‘어도를 걸을 때’
최신뉴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