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귀순 기자
【에코저널=서울】‘루시의 친구들’은 지난 4월 6일, 경북 안동 산불 피해 지역에서 진행한 동물 구조·구호 활동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고 밝혔다.
이번 산불로 피해를 입은 지역에서 화상, 탈진, 유실 등 위기에 처한 동물 187마리를 구조했다. 이중 상당수는 보호자가 확인돼 치료 후 인계될 예정이다.
‘루시의 친구들’은 산불 직후 긴급 현장 대응팀을 꾸려 안동시에 동물긴급진료소를 마련, 구조 동물들을 치료·보호했다. 농림축산식품부, 경북도, 안동시와 함께 ‘동물복지상황실’을 종합합동상황실 내에 최초로 설치·운영하며, 민관 협업의 대표 사례를 만들어냈다. 동물보호단체와 행정기관 간 핫라인도 개설해 실시간 구조 대응 체계를 구축했다.
이번 활동에는 100여 명의 수의료진, 200여 명의 자원봉사자, 20여 개의 기업이 힘을 보탰다. 국경없는수의사회, 경기도수의사회, 대한수의사회, 버려진동물을위한수의사회, 서울시수의사회, 한국피부임상학회 등 수의계의 현장 진료, 자문·지원이 있었다. 40곳에 달하는 대학 동물병원, 24시 동물의료센터 등도 동물들 입원 및 중증외상 치료에 적극 협력했다.
정부는 응급 처치에 필요한 약품을 지원했다. 시민 약 300명이 온라인으로 동물 제보를 접수했다. 수색, 이송, 진료보조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자원봉사자들이 헌신하며 동물과 사람을 지켜냈다.
‘루시의 친구들’은 이처럼 민·관·전문가·시민이 신속하게 협력해 187마리의 생명을 살려낸 경험을 바탕으로, 재난 대응에서의 동물 보호에 대한 주도권을 확고히 하겠다는 입장이다. 단순한 촉구를 넘어 현장 중심의 실천 모델을 구축한 셈이다.
루시의 친구들은 일회성 구조 활동에 그치지 않고, 지역 복구 단계에서도 사람과 동물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마당개 중성화 및 방사 후 청정지역 조성 ▲사육 환경 개선 ▲동물등록 확대 ▲길고양이 급식소 및 중성화(TNR) 지원 등을 통해 사람과 동물이 함께 안전하게 살 수 있는 마을 만들기에 나설 계획이다.
이번 산불 대응을 계기로 ‘루시의 친구들’은 재난 시 동물도 함께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반려동물 동반피난법’ 제정을 공식 촉구하고 있다. 현재까지 관련 입법을 요구하는 온라인 서명에 2천명 이상의 시민이 참여했디/ 이는 공동체 구성원으로서 동물의 권리를 제도적으로 보장하라는 사회적 목소리를 반영한다.
‘루시의 친구들’ 관계자는 “재난 속에서도 동물은 공동체의 일원이며, 이들의 생명을 함께 지켜내는 것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국가의 의무”라며 “이번 활동을 계기로 반려동물 동반 대피 제도, 재난대응 동물보호 매뉴얼 마련, 그리고 ‘반려동물 동반피난법’ 제정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도록 정부와 국회가 책임 있게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루시의 친구들’은 동물권행동 카라, 동물보호단체 라이프, 도로시지켜줄개, 코리안독스, KK9레스큐, TBT레스큐 등이 함께하는 동물보호단체 연대체다. 재난 상황에서의 동물 구조와 제도 마련을 위해 활동하고 있다.
경북 산불현장 동물 구조 협력병원
24시더휴동물의료센터, 24시범어동물의료센터, 24시본동물의료센터, 24시분당리더스동물의료원, 24시블레스동물메디컬센터, 24시스탠다드동물의료센터, 24시연희동물의료센터, 24시잠실on동물의료센터, 24시휴동물의료센터, 24타임즈동물의료센터, FM동물메디컬센터 김포점, SD동물의료센터, SNC동물메디컬센터, SUN동물병원, 건국대학교 동물병원, 경북대학교 동물병원, 광교우리들동물병원, 광명24시아이디동물의료센터, 군포 솔동물의료센터, 그린벨동물의료센터, 넬동물의료센터, 다솜동물메디컬센터(금정), 다솜동물메디컬센터(본원), 대구죽전동물메디컬센터, 대구탑스동물메디컬센터, 동물메디컬센터W, 동인동물병원, 바른걸음외과동물병원, 박순석동물메디컬센터, 송정동물의료센터, 수원24시본동물의료센터, 스타동물병원, 안양본동물의료센터, 여울동물병원, 용인죽전SKY동물메디컬센터, 이성준동물병원, 이승진동물의료센터, 이플동물병원, 충현동물종합병원, 카라동물병원, 평촌다온동물병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