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피해 회복 통로, ‘고향사랑기부제’ 활용 활발
기사 메일전송
산불피해 회복 통로, ‘고향사랑기부제’ 활용 활발 특별재난지역 10만원 초과 기부 세액공제 비율 2배 확대  
  • 기사등록 2025-04-02 09:10:01
기사수정

【에코저널=세종】경남 산청 산불을 마지막으로 영남권에서 발생한 초대형 산불의 주불이 모두 진화된 가운데, 고향사랑기부제가 재난 피해회복을 위한 통로로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행정안전부는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된 울산 울주군, 경북 안동시·의성군·청송군·영양군·영덕군, 경남 산청군·하동군 등 8개 지자체에 3월 21일 산불 발생 이후 3월 31일까지 약 44억원의 고향사랑기부금이 모금됐다고 밝혔다. 이는 같은 기간 고향사랑기부 전체 모금액(약 64억원)의 69% 수준이다.

 

3월 21일(산불발생)부터 3월 31일까지 ▲울산 울주군 1억8천만원 ▲경북 안동시 7억9천만원 ▲경북 의성군 11억2천만원 ▲경북 청송군 2억7천만원 ▲경북 영양군 2억2천만원 ▲경북 영덕군 14억원 ▲경남 산청군 2억7천만원 ▲경남 하동군은 1억5천만원을 모금했다.

 

고향사랑e음 메인화면.

현재 특별재난지역 8개 지자체는 모두 ‘고향사랑e음’으로 일반기부 모금을 진행하고 있다. 산불 피해복구 관련 지정기부 사업도 개시해 모금하고 있다. 

 

행정안전부는 피해 지자체의 빠른 모금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최근 지방의회의 사전의결 대신 지방의회 보고만으로도 모금을 진행할 수 있도록 지정기부 사업개시 요건을 완화했다. 

 

한편, 행정안전부는 기부 편의를 제고하기 위해 기존 고향사랑기부금 모금창구인 ‘고향사랑e음’(온라인), ‘농협’(현장) 외에도 국민은행, 신한은행, 하나은행, 기업은행, 농협은행, 위기브, 액티부키 7개 민간플랫폼으로도 기부금을 모금하고 있다.

 

각 플랫폼은 모금활동과 함께,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된 지자체 대상 고향사랑기부금 참여를 독려하는 캠페인도 진행하고 있다. 

 

KB스타뱅킹앱 기부안내 이미지. 국민은행은 자사 ‘KB스타뱅킹앱’에 특별재난지역 대상 별도 기부 배너·팝업을 게시하고 있다. ‘위기브’는 경북 영덕군과 의성군 대상 지정기부모금을 진행하고 있다.

 

온라인상에서도 회원규모가 큰 인터넷 대형 커뮤니티와 주요 SNS를 중심으로 고향사랑기부금으로 산불 피해지역을 돕자는 운동과 기부인증 릴레이가 활발히 펼쳐지고 있다. 

 

지난해 말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당시에도 온라인상에서 고향사랑기부 캠페인이 전개되며 무안군에 이틀 만에 10억원이 모금된 바 있다.

 

한편, 행정안전부는 올해부터 특별재난지역에 고향사랑기부를 할 때 세액공제 비율이 확대 적용된다고 밝혔다. 지금까지는 고향사랑기부시 10만원 이하는 100% 세액이 공제되고, 10만 원 초과분부터는 16.5%의 공제 비율이 적용됐다. 

 

이번 달 개정된 ‘조세특례제한법’이 시행됨에 따라, 특별재난지역에 고향사랑기부를 하는 경우, 10만원 초과분에 대해서 기존보다 2배 높아진 33%의 세액공제 비율이 적용된다.(10만원 이하는 동일)

 

현재 법 개정에 따라 시행령이 입법예고 중으로, 개정안에 따르면 상향된 세액공제 비율은 특별재난지역 선포 후 3개월간 적용된다. 시행령 개정 전이라도 올해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된 지자체에는 모두 소급 적용된다.

 

행정안전부 김민재 차관보는 “고향사랑기부로 산불피해 지역에 힘을 보태주고 계신 국민께 감사드린다”며 “정부는 피해지역 주민들이 빠르게 일상을 회복하실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25-04-02 09:10:01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오대산 ‘복수초’ 개화…봄 ‘성큼’
  • ‘동해 품은 독도’ 촬영하는 박용득 사진작가
  • <포토>‘어도를 걸을 때’
최신뉴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