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성 기자
'서울 미세먼지 주범은 중국 오염물질'이라는 언론 보도와 관련, 환경부가 신뢰성이 부족하다고 반박했다.
이에 앞서 일부 언론은 초미세먼지(PM2.5)의 입자성분 및 오염원 등을 분석한 결과 중국발 오염물질이 미세먼지 오염의 50% 이상 기여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또 중국발 오염이 주범임에도 불구하고 경유자동차 규제 등 국내 대책에 초점을 맞춘 현 정책은 근본적으로 잘못됐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환경부는 "초미세먼지(PM2.5)의 배출원이 중국으로부터의 영향인지 여부 및 디젤의 영향이 작다는 것은 신뢰성 검증이 필요하다"고 해명했다.
환경부는 수도권대기개선대책 수립시 미세먼지(PM10)는 중국으로부터의 영향을 고려해 대책을 수립했으며, 중국의 영향을 고려하더라도 경유차에 대한 미세먼지 저감대책은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환경부 박광석 대기총량제도과장은 "초미세먼지의 배출원인 황산염과 스모그 에어로졸이 모두(43%) 중국으로부터의 영향인지에 여부는 국내 배출원을 고려하지 않은 점에서 볼 때 추가적인 연구조사가 필요한 부분"이라며 "미세먼지의 주된 배출원인 경유자동차 분야에서의 기여율이 1.4%에 불과하다는 주장은 측정지점이 1개소에 불과하는 등 조사방법론상의 신뢰성 검증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환경부는 수도권 대기개선을 위해서는 경유차 대책 등 국내 배출원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경유자동차에서 배출되는 미세먼지는 발암물질이 함유돼 인체에 치명적인 폐해를 일으키므로 경유차에 대한 저감대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