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환경공단,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신속 성능평가
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에코저널=인천】환경부 산하 한국환경공단은 31일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의 신속·정확한 성능평가 체계 구축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공단은 2022년 사용 후 배터리의 잔존수명(SOH; State of health)을 신속히 측정하기 위한 S/W(Software testing method)방식의 기술개발을 시작했다. 2023년 기술 검증·실증을 거쳐, 지난해 11월 신속 성능평가를 위한 장비 도입을 완료해 글로벌 최초로 사용 후 배터리의 잔존 수명을 1시간 이내로 측정하고 있다.

 


공단은 전기자동차 사용 후 배터리를 회수-보관-민간시장에 공급하기 위한 목적의 미래폐자원 거점수거센터를 2022년부터 운영하고 있다. 유럽 등 다른 나라에서 공통으로 사용하고 있는 배터리 1대당 8시간이 소요되는 완전충방전 평가방식의 개선에 돌입해 신속·정확한 평가기술 개발을 위해 노력해 왔다.

 

공단이 개발에 성공한 1시간 이내 신속평가 기술은 사용 후 배터리의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데이터 분석과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등을 활용한다. 정확성이 가장 높은 완전충방전 대비 오차율은 약 2%에 불과하나, 평가 소요 시간은 8배 단축 가능하다.

 

사용 후 배터리의 성능평가 등에 대한 법적 기준인 전기용품안전기준(KC10031)의 허용 오차 3%를 충족했을 뿐만 아니라 배터리 충전 상태별 기술 실증에서도 허용오차 이내 기준을 충족해 사용후 배터리 유통시 매우 손쉽게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공단은 미래폐자원 거점수거센터의 사용 후 배터리 민간공급 활성화를 위해 성능평가 이외 100V 이하 저용량 배터리의 잔존 수명 평가를 위한 장비를 도입했다. 이외 수입 차량의 사용 후 배터리 성능평가를 위한 장비도 지속 확대해 구축할 예정이다.

 

공단 임상준 이사장은 “국내 전기차 보급 현황과 전기차 교체주기(약 10년)를 볼 때 올해부터 사용 후 배터리의 대량발생이 예상된다”며 “민간시장에도 공단이 기술 개발한 신속 성능평가 방법을 보급해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시장이 신성장산업 창출과 순환경제 실현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25-03-31 14:28:03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오대산 ‘복수초’ 개화…봄 ‘성큼’
  • ‘동해 품은 독도’ 촬영하는 박용득 사진작가
  • <포토>‘어도를 걸을 때’
최신뉴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