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병구 기자
【에코저널=고양】농촌진흥청은 영농부산물을 소각하면 대기오염물질이 어느 정도 발생하고 배출되는지를 나타내는 국가 대기오염물질 배출계수를 개발해 과대 산정된 미세먼지 배출량을 재산정했다.
이를 통해 미세먼지 저감 정책을 효과적으로 수립하기 전에 먼저 구축해야 할 미세먼지 배출량 관리 체계(인벤토리) 정확도를 높일 수 있게 됐다. 이 체계가 불확실하면 배출원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 배출량이 과소 또는 과대 평가될 우려가 있다.
농촌진흥청은 국내외 지침을 적용하고 실제 실외 소각 조건과 비슷한 영농부산물 소각 실험시스템을 개발해 콩, 보리 부산물 소각에 따른 대기오염물질(총 부유먼지,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질소산화물, 일산화탄소) 배출계수를 고도화했다.
이와 관련해 농업환경부 이상재 부장은 7일 경기도 고양시에 있는 영농부산물 소각 실험시스템 연구 현장을 방문해 시설을 둘러보고 기술 적용 상황을 점검했다.
이 부장은 연구진과 함께 영농부산물 소각에 따른 미세먼지 배출량 저감 대책을 논의하고, 신뢰성 높은 미세먼지 배출량 산정과 정보제공을 당부했다. 이 부장은 “정확한 미세먼지 배출량 산정은 관련 정책을 효과적으로 수립하기 위한 선행 과제”라며 “내년까지 주요 작물 12개의 소각 배출계수를 추가 개발해 과대 산정으로 오해를 받는 영농부산물 소각 부문 미세먼지 배출량을 현행화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2021년 기준 우리나라 전체 초미세먼지 배출량 5만 7317톤 가운데 7177톤(약 13%)이 영농부산물을 소각할 때 발생하는 초미세먼지인 것으로 보고돼 있다. 지금까지는 농업 현장 여건을 제대로 반영하지 않고 일괄적으로 배출계수를 적용한 탓에 영농부산물 소각 배출량이 과대 산정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