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농산물 잔류농약 검사 항목 확대
기사 메일전송
서울시, 농산물 잔류농약 검사 항목 확대 매일 경매·유통·급식 농산물 잔류농약 검사  
  • 기사등록 2025-02-28 13:14:06
기사수정

【에코저널=서울】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이하 연구원)은 2월부터 농산물 잔류농약 검사 항목을 475항목으로 확대해 유통되는 농산물의 안전관리 강화에 앞장서고 있다.

 

농산물 검체.

연구원은 지속적으로 검사 항목을 확대해 왔다. 잔류농약 다성분시험법 개정에 따라 농약 5종(디메토모르프, 이프로디온, 노발루론, 클로로탈로닐, 스피로테트라맷)을 추가해 검사를 강화했다.

 

연구원은 가락·강서도매시장 경매농산물과 마트·백화점·전통시장 등에서 유통되는 농산물, 학교·어린이집 급식 농산물을 시에서 권역별(강북·강남·강서)로 검사 의뢰받아 매일 신속하게 잔류농약 검사 결과를 통보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가락·강서도매시장 경매농산물과 마트·백화점·전통시장 등의 유통 농산물 9041건을 검사해 잔류농약 허용 기준을 초과한 농산물 229건을 적발, 유통을 차단했다.

 

농산물 잔류농약 분석.연구원 검사결과, 부적합으로 판정된 농산물은 서울시 식품수거회수반이 현장에서 신속하게 압류하고, 전량 회수·폐기해 유통을 차단한다. 학교·어린이집 등에 공급되는 급식용 농산물도 사전검사 후 부적합 제품은 급식에 사용되지 않도록 조치하고 있다.

농산물 안전 정보는 서울시 식품안전관리(https://fsi.seoul.go.kr),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안전나라(https://www.foodsafetykorea.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박주성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장은 “앞으로도 농산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농약 성분에 대한 검사 항목을 확대하는 등 서울시에 유통되는 농산물의 안전관리 강화를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서울시는 소비자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한 잔류농약 검사 항목 확대와 함께 소비자들에게 안전한 먹거리를 제공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농산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농약 성분 검사를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25-02-28 13:14:06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오대산 ‘복수초’ 개화…봄 ‘성큼’
  • ‘동해 품은 독도’ 촬영하는 박용득 사진작가
  • <포토>‘어도를 걸을 때’
최신뉴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