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공원 7곳 온실가스 흡수량 국제표준 검증서 획득
기사 메일전송
국립공원 7곳 온실가스 흡수량 국제표준 검증서 획득
  • 기사등록 2024-10-24 08:31:04
  • 기사수정 2024-10-24 08:34:36
기사수정

【에코저널=원주】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공단은 설악산, 오대산, 태백산, 소백산, 치악산, 북한산, 태안해안 등 국립공원 7곳의 온실가스 흡수량 자체 조사 결과에 대해 온실가스 검증 국제공인기관인 영국왕립표준협회로부터 국제표준(ISO14064) 검증서를 획득했다고 밝혔다.

 

국립공원공단은 2년간(2021년, 2023년) 국립공원 7곳을 대상으로 연간 온실가스 흡수량을 조사·분석했다. 올해 8월 영국왕립표준협회에 국제표준(ISO14064) 검증을 의뢰했다. 

 

영국왕립표준협회는 현장실사를 거쳐 국립공원 7곳의 연간 온실가스 흡수량 검증서를 9월 10일에 발급했다. 

 

검증서에 확인된 국립공원 7곳의 연 평균 온실가스 흡수량은 1㏊(헥타르) 당 14.33CO2톤(이산화탄소톤)으로 나타났다. 소백산이 16.98CO2톤으로 가장 높았다. 

 

영국왕립표준협회 검증서.

국립공원공단 연구진은 생물다양성이 풍부한 산림일수록 온실가스 흡수 효과가 높은 것으로 보고 있다. 수목의 종류와 연령 등에 따른 흡수량 차이에 대해 추가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국립공원 7곳(면적 13만 4598.6㏊ 기준) 전체의 연 평균 온실가스 흡수량은 192만 8797CO2톤으로 나타났다. 이를 금액으로 환산하면 약 1278억원의 사회적 비용 절감 효과를 보인 것으로 추정된다. 


국립공원공단 송형근 이사장은 “생물다양성이 높은 산림일수록 온실가스 흡수량이 높은 경향을 보였고, 특히 소백산과 설악산의 흡수량이 평균치보다 많았다”며 “생물다양성을 고려한 국립공원 자연숲 복원·관리를 통해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달성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24-10-24 08:31:04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오대산 ‘복수초’ 개화…봄 ‘성큼’
  • ‘동해 품은 독도’ 촬영하는 박용득 사진작가
  • <포토>‘어도를 걸을 때’
최신뉴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