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귀순 기자
【에코저널=서울】서울환경연합은 22일 오후 2시, 감사원 입구에서 서울시 한강버스 사업 공익감사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오늘 기자회견에서 서울환경연합 최영 생태도시팀장은 “150톤에 달하는 한강버스가 수십 번 지나가고 정박하기 위해서는 선착장 주변과 한강버스 노선 주변을 반복적으로 준설해야 한다”며 “서울시는 2030년까지 두모포에서 큰 고니가 날아오르고 아이들이 멱을 감을 수 있는 한강을 만든다고 했지만 리버버스가 하루에도 수십 번씩 오가는 한강에서 아이들이 멱을 감는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라고 비판했다. 최 팀장은 “감사원에서 지금 오세훈 서울시장이 강행하고 있는 졸속으로 추진하고 있는 한강버스 사업에 대해서 면밀하게 조사하고 브레이크를 걸어줄 것”을 요구했다.
공공교통네트워크 김상철 정책센터장은 “서울시는 선박 건조 비용을 총 사업비에서 배제했다”며 “이는 민간 사업자의 사업성을 높여주기 위한 것이자, 리버버스 사업이 경제성이 있다라고 하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꼼수”이라고 꼬집었다. 이어 “총 사업비는 공항과 관련된 예비타당성 기준을, 수요 예측은 도로나 철도 부분과 관련된 예비타당성 기준을 사용하고 있다”며 “리버버스 경제적 타당성을 분석하는 기준에 일관성이 없고 자신들에게 유리한 기준을 멋대로 가져다 쓰고 있다”고 말했다.
김 센터장은 “이미 감사원은 2011년도에 선임 시장인 오세훈 시장이 재임할 시기에 한강 르네상스 사업에 대한 검토를 한 바 있다”며 “감사원 스스로 한강 르네상스 사업을 검토하면서 세웠던 그 기준 그대로만 보더라도 이 한강 리버버스 사업의 문제점이 드러날 것”이라고 강조했다.
서울환경연합 고은솔 활동가는 기자회견문을 낭독하며 “절차위반 문제가 명백하고 세금 낭비와 시민 안전 위협이 분명한 상황에서 한강버스 사업에 대해 감사원의 조속한 감사가 절실하다”고 말했다.
서울환경연합은 기자회견 이후 감사원에 ‘한강버스 타당성 왜곡의 건’ 공익감사청구서를 제출하며 소중한 생태공간이자 대표적인 공유자산인 한강을 공론과 숙의없이 민간기업 돈벌이 수단으로 내어주지 않도록 신속하고 공정한 감사를 촉구했다.
앞서 감사원은 지난 8월 23일 서울지역 노동·시민사회단체가 리버버스 졸속 추진 등 서울시 부당행정에 대해 청구한 공익감사 진행 여부를 무기한 연장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