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지연 의원, “고도정수처리시설 확대 설치해야”
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에코저널=서울】깨끗하고 안전한 물 공급을 위해 고도정수처리시설을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조지연 의원(경북 경산시, 사진)이 한국수자원공사(K-water 이하 ‘수공’)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수공에서 관리중인 취수장 11곳에서 기준치를 초과하는 맛·냄새 유발물질이 검출된 것으로 드러났다. 

 

취수장별로 살펴보면, ▲한강유역의 팔당1, 팔당2, 팔당3 취수장 ▲금강유역 대청, 현도2, 보령, 칠보 취수장 ▲낙동강유역 고령, 구미, 본포, 남강 취수장에서 맛·냄새 유발물질인 지오스민이 기준치 0.020㎍/L을 초과했다. 특히 본포와 남강 취수장은 3년 연속, 팔당 1~3 취수장은 2년 연속 기준치를 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다른 맛·냄새 유발물질인 2-MIB의 경우 2022년 고령 취수장에서, 2024년 구미, 본포 취수장에서 기준치 0.020㎍/L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오스민과 2-MIB는 흙과 곰팡이 냄새를 유발하는 물질로서, 기준치를 초과할 경우 음용수 품질 저하에 따른 불쾌감을 초래하게 된다. 수공은 이러한 맛·냄새 유발물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고도정수처리시설을 도입하고 있다. 고도정수처리시설은 표준정수처리시설에 전·후 오존 처리를 추가하는 것으로 화학적 방법을 통해 수질을 개선한다. 일반적으로 고도정수처리시설이 도입되면 맛·냄새 물질 제거 효과가 최대 2배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수공이 관리 중인 39개 정수장 중 고도정수처리시설이 도입된 곳은 12개로 집계됐으며, 9개 정수장은 도입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11개 정수장은 도입 계획 중이고, 7개 정수장은 도입 계획이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조지연 의원은 “이상기후로 등으로 인한 취수원의 맛·냄새 유발물질과 신종 미량오염물질의 효과적인 제거를 통해 국민들께 안전한 음용수를 제공할 수 있도록 고도정수처리시설을 확대해야 한다”면서 “수공이 관리 중인 정수장 뿐만 아니라, 지자체가 관리 중인 정수장 역시 고도정수처리시설이 전면 도입될 수 있도록 관계당국과 지자체의 협력과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24-10-16 14:41:50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오대산 ‘복수초’ 개화…봄 ‘성큼’
  • ‘동해 품은 독도’ 촬영하는 박용득 사진작가
  • <포토>‘어도를 걸을 때’
최신뉴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