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봉기 기자
울산시는 지구 온난화 방지를 위해 채택된 교토의정서 등에 적극 대처코자 '기후변화 협약 대응전략 수립계획' 연구용역에 착수했다고 24일 밝혔다.
이에 따라 시는 25일 울산대 산학협동관에서 시 공무원,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환경부 환경관리공단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기후변화협약 대응전략 수립계획' 연구용역 착수 보고회를 개최한다.
시에 따르면 이번 연구용역은 내년 1월까지 환경부 산하 환경관리공단으로부터 사업비 5,000만원을 지원 받아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에 의뢰해 실시된다.
주요 연구내용은 울산지역의 온실가스 배출현황 및 전망에 따른 분야별 감축계획이 마련이다.
또한 바이오 매스 및 에너지 분산형 전력공급체계와 풍력·수력발전의 타당성 연구, 공공건물에 대한 환경 실사 및 에너지 효율성 측정방안, 대형건물의 태양 에너지 이용 타당성 연구 등 에너지 절약 및 재생에너지 확대 보급 등 에너지 분야에 대한 대책도 연구된다.
이와 함께 교통분야의 기후변화 물질 저감방안, 폐기물 분야 및 환경 기초시설의 기후변화 물질 저감 방안, 도시녹화사업의 효율적 추진방안, 기타 지역 여건에 맞는 저감사업 발굴과 시민참여 활성화 방안, 기후협약이 지역경제와 환경 개선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연구도 이뤄진다.
시 관계자는 "이번 연구로 울산의 도시 이미지 개선과 친환경 국제도시로 발전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면서 "앞으로 용역결과를 바탕으로 기후변화 대응전략 세부 시행계획을 수립 본격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기후변화협약'은 지난 1992년 브라질 리우 유엔환경개발회의에서 이산화탄소(CO₂)등 온실가스의 농도 증가로 인한 기후변화를 방지코자 채택됐다.
또한 기후변화협약만으로는 지구온난화 방지가 불충분하다고 판단, 지난 1997년 일본, EU, 캐나다 등 세계 39개국이 참여하는 가운데 오는 2008년부터 2012년까지 5년간 이산화탄소 등 온실가스를 1990년도 배출량의 5.2%를 감축하는 '교토의정서'가 채택됐다.
OECD 회원국인 우리나라도 온실가스 배출량이 세계 9위권으로 오는 2013년부터는 어떠한 방식으로든 온실가스 감축 대상국에 포함될 것이 불가피할 전망이다.